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47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7일 (목)
잔글
잔글 (→‎역사)
1번째 줄: 1번째 줄: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망막}}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망막}}
== 역사 ==
== 역사 ==
과거에 50-60대 흑인 여자에서, 시신경 유두 이측 주변의 맥락막 이상혈관으로부터 반복적인 출혈, 삼출 병변이 생기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졌으며,multiple recurrent serosanguinous RPE detachments, posterior uveal bleeding syndrome 등으로 불리었다.1 1990년 Yannuzzi 등<ref>Yannuzzi LA et al. Idiopathic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IPCV). Retina. 1990;10(1):1-8. [https://pubmed.ncbi.nlm.nih.gov/1693009/ 연결]</ref>은 이런 질환을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로 명명하였고,이상혈관이 ICGA에서 방사상으로 가지를 치는 선형의 혈관 (branching vascular network, BVN) 과 그 끝 부위에 확장된 결절(polypoidal dilatation) 을 보이는 특징을 갖는다고 하였다.
과거에 50-60대 흑인 여자에서, 시신경 유두 이측 주변의 맥락막 이상 혈관으로부터 반복적인 출혈, 삼출 병변이 생기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졌으며,multiple recurrent serosanguinous RPE detachments, posterior uveal bleeding syndrome 등으로 불리었다<ref>Kleiner RC et al. The posterior uveal bleeding syndrome. ''Retina''. 1990;10(1):9-17. [https://pubmed.ncbi.nlm.nih.gov/2343198/ 연결]</ref>. 1990년 Yannuzzi 등<ref>Yannuzzi LA et al. Idiopathic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IPCV). Retina. 1990;10(1):1-8. [https://pubmed.ncbi.nlm.nih.gov/1693009/ 연결]</ref>은 이런 질환을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로 명명하였고,이상혈관이 ICGA에서 방사상으로 가지를 치는 선형의 혈관 (branching vascular network, BVN) 과 그 끝 부위에 확장된 결절(polypoidal dilatation) 을 보이는 특징을 갖는다고 하였다.
 
== 역학 ==
== 역학 ==
주로 유색 인종에 많기는 하지만 모든 인종에서, 성별에 관계없이 발생하며, 발생 위치도 이측 신경 유두보다는 황반이 더 많고 드물게는 주변부에서도 생길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주로 유색 인종에 많기는 하지만 모든 인종에서, 성별에 관계없이 발생하며, 발생 위치도 이측 신경 유두보다는 황반이 더 많고 드물게는 주변부에서도 생길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