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5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7일 (목)
잔글
53번째 줄: 53번째 줄:


* aflibercept : 가장 나중에 개발된 약으로, 최근 PLANET 연구에서 단독 요법으로 유의한 시력 향상을 보여주었고, 소수의 환자만이 추가적 PDT 치료가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ref>Lee WK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Intravitreal Aflibercept for PCV in the PLANET Study: A RCT. JAMA Ophthalmol. 2018 Jul 1;136(7):786-793. [https://pubmed.ncbi.nlm.nih.gov/29801063/ 연결]</ref>.  약물 역동학적으로 작용 기간이 긴 장점이 있을 수 있고, 기존의 약제에 치료 반응이 없는 경우에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 특히 맥락막내 과형광(choroidal hyperpermeability), 두꺼운 맥락막, 그리고 PED가 동반된 증례에 효과적이며, 결절 폐쇄율이 더 높다는 보고도 있다.
* aflibercept : 가장 나중에 개발된 약으로, 최근 PLANET 연구에서 단독 요법으로 유의한 시력 향상을 보여주었고, 소수의 환자만이 추가적 PDT 치료가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ref>Lee WK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Intravitreal Aflibercept for PCV in the PLANET Study: A RCT. JAMA Ophthalmol. 2018 Jul 1;136(7):786-793. [https://pubmed.ncbi.nlm.nih.gov/29801063/ 연결]</ref>.  약물 역동학적으로 작용 기간이 긴 장점이 있을 수 있고, 기존의 약제에 치료 반응이 없는 경우에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 특히 맥락막내 과형광(choroidal hyperpermeability), 두꺼운 맥락막, 그리고 PED가 동반된 증례에 효과적이며, 결절 폐쇄율이 더 높다는 보고도 있다.
* 브롤루시주맙 (brolucizumab) : 최근에 신약으로 개발되었고, 초기 연구에 따르면 주사 간격을 3달 01상 늘려도 많은 환자 에서 안정된 병변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었다<ref>Dugel PU et al. HAWK and HARRIER: 96 week outcomes from the Phase 3 Trials of Brolucizumab for Neovascular AMD. ''Ophthalmology''. 2021 Jan;128(1):89-99. [https://pubmed.ncbi.nlm.nih.gov/32574761/ 연결]</ref>.
* [[브롤루시주맙]] (brolucizumab) : 최근에 신약으로 개발되었고, 초기 연구에 따르면 주사 간격을 3달 이상 늘려도 많은 환자 에서 안정된 병변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었다<ref>Dugel PU et al. HAWK and HARRIER: 96 week outcomes from the Phase 3 Trials of Brolucizumab for Neovascular AMD. ''Ophthalmology''. 2021 Jan;128(1):89-99. [https://pubmed.ncbi.nlm.nih.gov/32574761/ 연결]</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