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발생 기전) |
잔글 (→발생 기전)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SD-OCT가 개발되면서 병변의 종적 위치를 잘 파악할 수 있게 되었는데, 거의 모든 증례에서 이상혈관은 융기된 RPE line (RPE와 RPE의 기저막) 과 브루크막의 외층을 나타내는 가는 반사선 사이에 위치한다.13-15 브루크막의 가장 내층이 RPE 기저막 (basal lamina) 이므로 이는 이상혈관이 브루크막 안에 위치하는 것을 뜻한다. 이런 관찰을 토대로 PCV는 브루크막 안의 혈관신생, 즉 제1형 혈관신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이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aneurysmal type 1 neovascularization 으로 새롭게 명명하자는 주장도 있다<ref>Dansingani KK et al. Understanding aneurysmal type 1 NV (PCV) : a lesson in the taxonomy of 'expanded spectra' - a review. ''Clin Exp Ophthalmol''. 2018 Mar;46(2):189-200. [https://pubmed.ncbi.nlm.nih.gov/29178419/ 연결]</ref>. 이어지는 논란은 이러한 혈관신생이 AMD와 연관된 제1형 혈관신생 (잠복 혈관신생) 의 한 유형 인지, 아니면 다른 발생 기전을 갖는 혈관신생인지 하는 것이다<ref>Balaratnasingam C et al. PCV : A Distinct Disease or Manifestation of Many? ''Retina''. 2016 Jan;36(1):1-8. [https://pubmed.ncbi.nlm.nih.gov/26414957/ 연결]</ref>. | SD-OCT가 개발되면서 병변의 종적 위치를 잘 파악할 수 있게 되었는데, 거의 모든 증례에서 이상혈관은 융기된 RPE line (RPE와 RPE의 기저막) 과 브루크막의 외층을 나타내는 가는 반사선 사이에 위치한다.13-15 브루크막의 가장 내층이 RPE 기저막 (basal lamina) 이므로 이는 이상혈관이 브루크막 안에 위치하는 것을 뜻한다. 이런 관찰을 토대로 PCV는 브루크막 안의 혈관신생, 즉 제1형 혈관신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이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aneurysmal type 1 neovascularization 으로 새롭게 명명하자는 주장도 있다<ref>Dansingani KK et al. Understanding aneurysmal type 1 NV (PCV) : a lesson in the taxonomy of 'expanded spectra' - a review. ''Clin Exp Ophthalmol''. 2018 Mar;46(2):189-200. [https://pubmed.ncbi.nlm.nih.gov/29178419/ 연결]</ref>. 이어지는 논란은 이러한 혈관신생이 AMD와 연관된 제1형 혈관신생 (잠복 혈관신생) 의 한 유형 인지, 아니면 다른 발생 기전을 갖는 혈관신생인지 하는 것이다<ref>Balaratnasingam C et al. PCV : A Distinct Disease or Manifestation of Many? ''Retina''. 2016 Jan;36(1):1-8. [https://pubmed.ncbi.nlm.nih.gov/26414957/ 연결]</ref>. | ||
아직도 PCV의 병인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있으며, 규명하여야 할 것이 많다. 결절에 대해서도 이상혈관이 풍선처럼 확장되어 보이는 것이라는 의견에 대해, 선형혈관 (BVN) 의 끝에서 이상혈관이 또아리를 틀며 혈관망을 형성하여 나타난 것이라는 보고도 있다. | 아직도 PCV의 병인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있으며, 규명하여야 할 것이 많다. 결절에 대해서도 이상혈관이 풍선처럼 확장되어 보이는 것이라는 의견에 대해, 선형혈관 (BVN) 의 끝에서 이상혈관이 또아리를 틀며 혈관망을 형성하여 나타난 것이라는 보고도 있다<ref>Yuzawa M et al. The origins of PCV. ''BJO''. 2005 May;89(5):602-7. [https://pubmed.ncbi.nlm.nih.gov/15834093/ 연결]</ref><ref>Bo Q et al. Appearance of Polypoidal Lesions in Patients with PCV using SS-OCT. ''JAMA Ophthalmol''. 2019 Jun 1;137(6):642-650. [https://pubmed.ncbi.nlm.nih.gov/30998817/ 연결]</ref>. 그리고 대부분이 1형 혈관신생이지만, 2형도 있다는 보고도 있다. PCV는 망막과 맥락막의 배경 소견이 다양하고 임상 발현에 인종적 차이도 보이는데, 이에 따라 병태생리도 다를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결절 형태의 이상혈관은 전형적 AMD에 의한 섬유화 반흔의 경계에서 발생할 수도 있으며,기울어진 시신경 유두에 동반된 inferior staphyloma, 맥락막 모반 (choroidal nevus}이나 방사선 망막병증과 연관된 혈관신생에서도 관찰할 수 있어서, 결절이 보인다고 모두 같은 병적 기전을 갖는다고 볼 수 없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