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 유리체강 내 주입된 삽입물의 전방 내로의 이동Röck D et al. Risk factors for and management of AC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 migration. BMC Ophthalmol. 2019 May 28;19(1):120. 연결Khurana RN et al. Dexamethasone implant AC migration : risk factors, complications, and management strategies. Ophthalmology. 2014 Jan;121(1):67-71. 연결Gonçalves MB et al.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 Migration into the AC : A Multicenter Study From the Pan-American Collaborative Retina Study Group. Retina. 2020 May;40(5):8...) |
잔글 (→적응증)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보험 약가 == | == 보험 약가 == | ||
환자 전액 본인 부담 시 : 742,000원 | 환자 전액 본인 부담 시 : 742,000원 | ||
== | == 인정 기준 및 방법<ref>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8-253호, 「요양 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약제)」일부개정 (2018-11-28)</ref> == | ||
=== 당뇨병성 황반 부종 (DME) === | === 당뇨병성 황반 부종 (DME) === | ||
* 투여 대상 : 중심 망막 두께 (CRT) ≥ 300 ㎛ 인 경우 | * 투여 대상 : 중심 망막 두께 (CRT) ≥ 300 ㎛ 인 경우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투여 횟수 : 단안 당 1회 (추가 투여 시 소견서 첨부) | * 투여 횟수 : 단안 당 1회 (추가 투여 시 소견서 첨부) | ||
* 제출 자료 : 진료 기록지, 투여 사유서 | * 제출 자료 : 진료 기록지, 투여 사유서 | ||
== 부작용 및 합병증 == | == 부작용 및 합병증 == | ||
* 안압 상승 : 스테로이드의 합병증으로 가장 염려되는 안압 상승의 위험이 triamcinolone에 비해 현저히 낮아서 오직 16%에서 최고 안압 25mmHg 이상의 고안압을 보이다가 약효가 끝나는 180일에서는 4%로 감소하였다. | * 안압 상승 : 스테로이드의 합병증으로 가장 염려되는 안압 상승의 위험이 triamcinolone에 비해 현저히 낮아서 오직 16%에서 최고 안압 25mmHg 이상의 고안압을 보이다가 약효가 끝나는 180일에서는 4%로 감소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