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방사상 시신경 절개술)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망막 혈관신생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유리체 출혈이 흡수되지 않는 경우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망막 전막과 섬유혈관 증식이 합병된 경우 함께 제거할 수 있고 [[범망막 광응고]]를 완전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광범위한 전안부 혈관신생 및 [[신생혈관 녹내장]]이 있는 경우에는 전방내 녹내장 유출 장치 삽입 시 발생할 수 있는 전방 출혈을 줄이외 위해 유리체 절제술 및 안내 레이저를 시행하면서 동시에 유출 장치의 후방 삽입을 시도할 수 있다. | 망막 혈관신생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유리체 출혈이 흡수되지 않는 경우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망막 전막과 섬유혈관 증식이 합병된 경우 함께 제거할 수 있고 [[범망막 광응고]]를 완전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광범위한 전안부 혈관신생 및 [[신생혈관 녹내장]]이 있는 경우에는 전방내 녹내장 유출 장치 삽입 시 발생할 수 있는 전방 출혈을 줄이외 위해 유리체 절제술 및 안내 레이저를 시행하면서 동시에 유출 장치의 후방 삽입을 시도할 수 있다. | ||
=== 방사상 시신경 절개술 === | === 방사상 시신경 절개술 === | ||
시신경이 안구로 들어갈 때 망막 중심동맥 및 중심정맥을 포함하고 있어 해부학적 병목을 형성한다는 점에 착안해 CRVO의 원인을 공막 출구에서의 신경혈관 압박 현상으로 생각하여 공막 출구에 대한 감압술로 방사상 시신경 절개술 (radial optic neurotomy) 이 시도되었다. 일부 연구에서 시력 개선이 있었지만 이후 많은 시술 관련 심각한 합병증들이 보고되고 효과적인 유리체내 약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ref>Weizer JS et al. Radial optic neurotomy as treatment for CRVO. ''AJO''. 2003 Nov;136(5):814-9. [https://pubmed.ncbi.nlm.nih.gov/14597031/ 연결]</ref>. | 시신경이 안구로 들어갈 때 망막 중심동맥 및 중심정맥을 포함하고 있어 해부학적 병목을 형성한다는 점에 착안해 CRVO의 원인을 공막 출구에서의 신경혈관 압박 현상으로 생각하여 공막 출구에 대한 감압술로 방사상 시신경 절개술 (radial optic neurotomy) 이 시도되었다. 일부 연구에서 시력 개선이 있었지만 이후 많은 시술 관련 심각한 합병증들이 보고되고 효과적인 유리체내 약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ref>Weizer JS et al. Radial optic neurotomy as treatment for CRVO. ''AJO''. 2003 Nov;136(5):814-9. [https://pubmed.ncbi.nlm.nih.gov/14597031/ 연결]</ref><ref>Arevalo JF et al; Pan-American Collaborative Retina Study Group (PACORES). Radial optic neurotomy for CRVO: results of the PACORES. ''Retina''. 2008 Oct;28(8):1044-52. [https://pubmed.ncbi.nlm.nih.gov/18779709/ 연결]</ref><ref>Opremcak EM et al. Radial optic neurotomy for CRVO : 117 consecutive cases. ''Retina''. 2006 Mar;26(3):297-305. [https://pubmed.ncbi.nlm.nih.gov/16508430/ 연결]</ref>. | ||
== 추적 경과 관찰 == | == 추적 경과 관찰 == | ||
혈관신생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추적 관찰 간격은 초진 시력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시력이 낮은 경우 비관류의 발생 정도가 더 높고 [[홍채 신생혈관]], [[전방각 신생혈관]] 발생 위험이 더 높기 때문이다. | 혈관신생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추적 관찰 간격은 초진 시력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시력이 낮은 경우 비관류의 발생 정도가 더 높고 [[홍채 신생혈관]], [[전방각 신생혈관]] 발생 위험이 더 높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