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병인) |
잔글 (→임상 소견)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전안부와 후안부의 혈관 신생과 황반부종의 중증도는 허혈 망막에서 생성되는 성장인자에 의해 조절된다.3,4 CRVO 환자의 유리체액 분석은 다른 사이토카인 및 성장 인자와 함께 VEGF의 증가를 보여 주었고<ref>Aiello LP et al. VEGF in ocular fluid of patients w DR and other retinal disorders. N Engl J Med. 1994 Dec 1;331(22):1480-7. [https://pubmed.ncbi.nlm.nih.gov/7526212/ 연결]</ref><ref>Funk M et al. Intraocular concentrations of growth factors and cytokines in RVO and the effect of therapy w bevacizumab. ''IOVS''. 2009 Mar;50(3):1025-32. [https://pubmed.ncbi.nlm.nih.gov/19060280/ 연결]</ref><ref>Noma H et al. Vitreous levels of IL-6 and VEGF in ME w CRVO. ''Ophthalmology''. 2009 Jan;116(1):87-93. [https://pubmed.ncbi.nlm.nih.gov/19118700/ 연결]</ref>, 안구 내 VEGF 수치는 혈관신생 및 혈관 투과성을 포함한 안구 소견의 중증도와 상관 관계가 있었다<ref>Boyd SR et al. Correlation of increased VEGF w NV and permeability in ischemic CRVO. ''Arch Ophthalmol''. 2002 Dec;120(12):1644-50. [https://pubmed.ncbi.nlm.nih.gov/12470137/ 연결]</ref>. | 전안부와 후안부의 혈관 신생과 황반부종의 중증도는 허혈 망막에서 생성되는 성장인자에 의해 조절된다.3,4 CRVO 환자의 유리체액 분석은 다른 사이토카인 및 성장 인자와 함께 VEGF의 증가를 보여 주었고<ref>Aiello LP et al. VEGF in ocular fluid of patients w DR and other retinal disorders. N Engl J Med. 1994 Dec 1;331(22):1480-7. [https://pubmed.ncbi.nlm.nih.gov/7526212/ 연결]</ref><ref>Funk M et al. Intraocular concentrations of growth factors and cytokines in RVO and the effect of therapy w bevacizumab. ''IOVS''. 2009 Mar;50(3):1025-32. [https://pubmed.ncbi.nlm.nih.gov/19060280/ 연결]</ref><ref>Noma H et al. Vitreous levels of IL-6 and VEGF in ME w CRVO. ''Ophthalmology''. 2009 Jan;116(1):87-93. [https://pubmed.ncbi.nlm.nih.gov/19118700/ 연결]</ref>, 안구 내 VEGF 수치는 혈관신생 및 혈관 투과성을 포함한 안구 소견의 중증도와 상관 관계가 있었다<ref>Boyd SR et al. Correlation of increased VEGF w NV and permeability in ischemic CRVO. ''Arch Ophthalmol''. 2002 Dec;120(12):1644-50. [https://pubmed.ncbi.nlm.nih.gov/12470137/ 연결]</ref>.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대부분 갑작스럽고 통증이 없는 시력 상실로 나타나지만 점진적인 시력 저하로 나타날 수도 있다. 안저 검사에서 특징적인 망막정맥의 확장과 구불거림, 망막 표층의 화염 출혈 및 망막 심층의 반점 출혈을 보이고, 시신경 유두 부종과 면화반, 황반 부종이 다양한 정도로 존재한다. [[섬모체 망막 동맥 폐쇄]]가 드물게 동반될 수 있 는데 CRVO에 따른 모세혈관 내압의 갑작스러운 상승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망막 중심동맥 폐쇄|CRAO]]도 드물게 동반될 수 있다. | |||
== 수술적 치료 == | == 수술적 치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