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중심정맥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169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22일 (화)
잔글
13번째 줄: 13번째 줄:
대부분 갑작스럽고 통증이 없는 시력 상실로 나타나지만 점진적인 시력 저하로 나타날 수도 있다. 안저 검사에서 특징적인 망막정맥의 확장과 구불거림, 망막 표층의 화염 출혈 및 망막 심층의 반점 출혈을 보이고, 시신경 유두 부종과 면화반, 황반 부종이 다양한 정도로 존재한다. [[섬모체 망막 동맥 폐쇄]]가 드물게 동반될 수 있 는데 CRVO에 따른 모세혈관 내압의 갑작스러운 상승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망막 중심동맥 폐쇄|CRAO]]도 드물게 동반될 수 있다.
대부분 갑작스럽고 통증이 없는 시력 상실로 나타나지만 점진적인 시력 저하로 나타날 수도 있다. 안저 검사에서 특징적인 망막정맥의 확장과 구불거림, 망막 표층의 화염 출혈 및 망막 심층의 반점 출혈을 보이고, 시신경 유두 부종과 면화반, 황반 부종이 다양한 정도로 존재한다. [[섬모체 망막 동맥 폐쇄]]가 드물게 동반될 수 있 는데 CRVO에 따른 모세혈관 내압의 갑작스러운 상승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망막 중심동맥 폐쇄|CRAO]]도 드물게 동반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망막내 출혈은 다양한 정도의 이차적 [[망막 색소상피|RPE]] 변화를 동반하며 감소하거나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출혈의 감소를 위해 걸리는 시간은 다양하며 혈관 폐쇄로 인한 출혈량에 따라 다르다. CRVO의 자연경과에서 황반부종은 망막 내 출혈이 흡수되더라도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망막전막 및 중심와 색소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9 맥락막 순환을 통해 우회되는 시신경섬모체 문합 혈관 (optociliary shunt vessels) 이 시신경유두에 형성될 수 있다. 시신경유두 및 주변부 신생혈관이 망막 허혈에 대한 이차 반응으로 발생할 수 있다. 시신경유두 신생혈관을 구성하는 혈관은 일반적으로 시신경섬모체 문합 혈관보다 직경이 작고 그물과 유사한 혈관 네트워크로 분지되며 FA에서 누출을 보인다. 섬유혈관 증식으로 진행하여 유리체 출혈 또는 견인 망막박리를 초래할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망막내 출혈은 다양한 정도의 이차적 [[망막 색소상피|RPE]] 변화를 동반하며 감소하거나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출혈의 감소를 위해 걸리는 시간은 다양하며 혈관 폐쇄로 인한 출혈량에 따라 다르다. CRVO의 자연경과에서 황반부종은 망막 내 출혈이 흡수되더라도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망막전막 및 중심와 색소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ref>Hayreh SS et al. Natural history of visual outcome in CRVO. ''Ophthalmology''. 2011 Jan;118(1):119-133.e1-2. [https://pubmed.ncbi.nlm.nih.gov/20723991/ 연결]</ref>. 맥락막 순환을 통해 우회되는 시신경섬모체 문합 혈관 (optociliary shunt vessels) 이 시신경유두에 형성될 수 있다. 시신경유두 및 주변부 신생혈관이 망막 허혈에 대한 이차 반응으로 발생할 수 있다. 시신경유두 신생혈관을 구성하는 혈관은 일반적으로 시신경섬모체 문합 혈관보다 직경이 작고 그물과 유사한 혈관 네트워크로 분지되며 FA에서 누출을 보인다. 섬유혈관 증식으로 진행하여 유리체 출혈 또는 견인 망막박리를 초래할수 있다.


== 수술적 치료 ==
== 수술적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