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분지정맥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2,96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25일 (금)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시력)
17번째 줄: 17번째 줄:
침범된 영역은 주로 쐐기 모양을 취히며 구불구불하고 확장된 정백이 심층 혹은 표층의 망막 출혈, 면화반, 망믹 부종을 동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침범된 영역은 주로 쐐기 모양을 취히며 구불구불하고 확장된 정백이 심층 혹은 표층의 망막 출혈, 면화반, 망믹 부종을 동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시력 ===
=== 시력 ===
대부분의 환자가 내원 시 20/40 이하의 시력을 보이며, 자연 경과상 치료받지 않은 환자의 약 50~60%가 최종 시력 20/40 이상을 보이게 되나, 심한 시력 상실 또한 드물지 않아 20~25%의 환자는 20/200 이하의 최종 시력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ef>TBVOS group,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for BRVO ME. ''AJO''. 1984 Sep 15;98(3):271-82. [https://pubmed.ncbi.nlm.nih.gov/6383055/ 연결]</ref>. BRVO의 자연 경과는 폐쇄 위치 및 폐쇄 정도, 침범 영역의 동맥 관류 상태, 효과적인 우회 혈관 형성의 유무에 의 해결정된다.13 시력 상실을 유발하는 중요 합병증으로는 가장 흔한 것이 황반부종이며, 그 외 황반 비관류, 신생혈관으로부터의 유리체 출혈 등이 있다.
대부분의 환자가 내원 시 20/40 이하의 시력을 보이며, 자연 경과상 치료받지 않은 환자의 약 50~60%가 최종 시력 20/40 이상을 보이게 되나, 심한 시력 상실 또한 드물지 않아 20~25%의 환자는 20/200 이하의 최종 시력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ef name=r6>TBVOS group,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for BRVO ME. ''AJO''. 1984 Sep 15;98(3):271-82. [https://pubmed.ncbi.nlm.nih.gov/6383055/ 연결]</ref>. BRVO의 자연 경과는 폐쇄 위치 및 폐쇄 정도, 침범 영역의 동맥 관류 상태, 효과적인 우회 혈관 형성의 유무에 의해 결정된다<ref name=r6 />. 시력 상실을 유발하는 중요 합병증으로는 가장 흔한 것이 황반부종이며, 그 외 황반 비관류, 신생혈관으로부터의 유리체 출혈 등이 있다<ref name=r7>Rehak J et al. BRVO : pathogenesis, visual prognosis, and treatment modalities. ''Curr Eye Res''. 2008 Feb;33(2):111-31. [https://pubmed.ncbi.nlm.nih.gov/18293182/ 연결]</ref>.
=== 황반 부종 ===
모세혈관 내피세포의 밀착 연접의 손상으로 인한 혈액-망막 장벽의 파괴, 유리체-망막 유착, 혈관내피 성장인자 (VEGF) 나 IL-6 등의 혈관 투과성을 변화시키 는 염증성 인자들이 RPE, 모세혈관 내피세포나 [[뭘러세포]] 등에서 분비되며, 스털링 법칙에 의해 혈관 내에서 주변 조직으로 액체의 이동이 유발되어 황반부종 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ref name=r7 />. 황반부종은 망막 허혈 상태를 초래하고, 심한 허혈 상태가 지속된다면 황반부에 비가역적인 구조적 손상을 일으켜 시력의 장애는 영구적으로 남게 된다.
 
관류가 되는 황반부종 환자의 경우 대략 1/3에서 자연적인 시력의 회복을 기대할수 있으나, 만약 황반부종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시력 회복의 가능성은 떨어지게 된다. 최근의 24개의 연구를 통합한 메타분석 연구에 따르면 발병 후 1년 동안 5~15%에서 황반부종이 합병되며, 황반부종이 발생한 경우 중 18~41%에서 부종이 자연 완화된다고 보고하였다.
=== 황반부 비관류 ===
BRVO의 초기 경과에서 황반부의 모세 혈관비관류는 영구적인 시력상실을 야기할 수 있다. 시력은 황반부 산소 공급 상태를 민감하게 반영하기 때문에 초기 시력은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로 거론되고 있다. 광범위한 망막 모세혈관 비관류 영역이 존재할 경우 망막 신생혈관 형성을 통한 유리체 출혈을 야기할 수 있다. 망막 혈관신생은 허혈과 비허혈 망막의 경계 부위에 주로 발생하고 폐쇄 후 첫 3년 이내 어느 시기에도 생길 수 있으나 대부분 첫 6~12개월 사이에 발생한다. Branch Vein Occlusion Study (BVOS)<ref>BVOS Group, Argon laser scatter photocoagulation for prevention of NV and VH in BRVO. A RCT. ''Arch Ophthalmol''. 1986 Jan;104(1):34-41. [https://pubmed.ncbi.nlm.nih.gov/2417579/ 연결]</ref> 에서 5 DD 이상 크기의 비관류가 존재할 경우 약 36%의 환자에서 망막 신생혈관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최근의 메타분석 연구에서도 22~29%의 합병률을 보고하였으며,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이들 중 40~60%에서 유리체 출혈을 경험하게 된다고 하였다. 한편 [[홍채 신생혈관]]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서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BRVO 후 생긴 우회 혈관과 신생혈관을 검안경 검사만으로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런 경우 FA를 시행하여 초기에 과다한 형광 누출을 보이면 신생혈관으로 판단한다.
 
== 검사 ==
== 검사 ==
=== FA ===
=== F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