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분지정맥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527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26일 (토)
잔글
잔글 (→‎OCTA)
32번째 줄: 32번째 줄:
OCT는 RVO로 인한 황반부종의 진단 및 경과 관찰에 있어 중요한 도구로 이용된다. BRVO의 특징적인 OCT 소견으로는 황반부종에서 보이는 망막내 낭포 변화 및 망막하액의 축적,망막 출혈로 인한 망막내 고반사, 부종과 출혈로 인한 음영 등이 있다.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OCT 상의 망막 미세 구조가 더욱 자세하고 정밀하게 관찰되므로, 망막내 체액의 망막 세포층 사이에서의 분포 및 허혈에 따른 망막의 특정 층의 손상, 특히 광수용 세포의 보전 상태 (photoreceptor IS/OS integrity) 로 시력 예후를 예측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OCT는 RVO로 인한 황반부종의 진단 및 경과 관찰에 있어 중요한 도구로 이용된다. BRVO의 특징적인 OCT 소견으로는 황반부종에서 보이는 망막내 낭포 변화 및 망막하액의 축적,망막 출혈로 인한 망막내 고반사, 부종과 출혈로 인한 음영 등이 있다.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OCT 상의 망막 미세 구조가 더욱 자세하고 정밀하게 관찰되므로, 망막내 체액의 망막 세포층 사이에서의 분포 및 허혈에 따른 망막의 특정 층의 손상, 특히 광수용 세포의 보전 상태 (photoreceptor IS/OS integrity) 로 시력 예후를 예측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 OCTA ===
=== OCTA ===
최근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OCTA는 FA와 달리 조영제 투약 없이도 혈액 성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망막의 미세혈관 혈관 구조를 자세히 나타내어 RVO에서 망막혈관 병리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영상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22 0CTA에서는 비관류 부위,주변 모세관망의 파괴나 모세혈관 확장, 미세동맥류 및 우회혈관의 형성을 포함한 후극부 의 망막정맥 폐쇄와 관련된 미세혈관 변화를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시력 예후와 깊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중심와 무혈관 부위 (FAZ) 의 변화가 조영제 누출에 가려지지 않고,23,24 FA에서 보이지 않는 심부망막 모세혈관총 (deep capillary plexus) 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보여 줄 수 있다.25,26 다만, OCTA는 표준시야각이 3×3 mm나 6×6 mm 로 제한되어 있어 FA에 비해 시야가 제한되고 누출을 감지할 수 없다는 점, 황반부종이 심하거나 황반부 구조 손상으로 인한 분절화 오류 (segmentation error), 환자의 눈 움직임으로 인한 허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제한이 있다25.
최근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OCTA는 FA와 달리 조영제 투약 없이도 혈액 성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망막의 미세혈관 혈관 구조를 자세히 나타내어 RVO에서 망막혈관 병리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영상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ref>Moult E et al. Ultrahigh-speed SS OCTA in wAMD.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Retina''. 2014 Nov-Dec;45(6):496-505. [https://pubmed.ncbi.nlm.nih.gov/25423628/ 연결]</ref>. 0CTA에서는 비관류 부위,주변 모세관망의 파괴나 모세혈관 확장, 미세동맥류 및 우회혈관의 형성을 포함한 후극부 의 망막정맥 폐쇄와 관련된 미세혈관 변화를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시력 예후와 깊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중심와 무혈관 부위 (FAZ) 의 변화가 조영제 누출에 가려지지 않고,23,24 FA에서 보이지 않는 심부망막 모세혈관총 (deep capillary plexus) 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보여 줄 수 있다<ref name=r25>de Carlo TE et al. A review of OCTA. ''Int J Retina Vitreous''. 2015 Apr 15;1:5. [https://pubmed.ncbi.nlm.nih.gov/27847598/ 연결]</ref><ref>Savastano MC. In vivo characterization of retinal vascularization morphology using OCTA. ''Retina''. 2015 Nov;35(11):2196-203. [https://pubmed.ncbi.nlm.nih.gov/25932558/ 연결]</ref>. 다만, OCTA는 표준시야각이 3×3 mm나 6×6 mm 로 제한되어 있어 FA에 비해 시야가 제한되고 누출을 감지할 수 없다는 점, 황반부종이 심하거나 황반부 구조 손상으로 인한 분절화 오류 (segmentation error), 환자의 눈 움직임으로 인한 허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제한이 있다<ref name=r25 />.
 
=== 전신 검사 ===
=== 전신 검사 ===
대개 60세 이상의 고령의 환장에서 호발하기 때문에 젊은 환자에서 생긴 경우 기저 유발 인자를 의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젊은 여성의 경우 경구용 피임약의 복용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고, 과점도 상태 혹은 혈전 색전증을 유발하는 약제의 사용 여부를 파악하여 야 한다. 또한 여러 전신 인자, 특히 심혈관계 질환이나 당뇨, 혈액 질환과의 상관관계가 높으므로 이의 평가가 필요하다. 환자의 성별, 연령이나 과거력 등에 따라 진단검사 들의 선별이 필요하다.
대개 60세 이상의 고령의 환장에서 호발하기 때문에 젊은 환자에서 생긴 경우 기저 유발 인자를 의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젊은 여성의 경우 경구용 피임약의 복용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고, 과점도 상태 혹은 혈전 색전증을 유발하는 약제의 사용 여부를 파악하여 야 한다. 또한 여러 전신 인자, 특히 심혈관계 질환이나 당뇨, 혈액 질환과의 상관관계가 높으므로 이의 평가가 필요하다. 환자의 성별, 연령이나 과거력 등에 따라 진단검사 들의 선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