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비수술적 치료) |
잔글 (→약물 치료)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약물 치료 == | == 약물 치료 == | ||
발작시 치료는 염증을 조절하기 위해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고, 안압을 낮추기 위해 [[베타 차단제]], [[알파 작동제]],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CAI) 점안이나 전신적 CAI를 복용 혹은 고삼투압제도 이용된다. 방수 내 PG의 증가를 막기 위하여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쓰는 것을 권장하는 주장도 있다. | 발작시 치료는 염증을 조절하기 위해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고, 안압을 낮추기 위해 [[베타 차단제]], [[알파 작동제]],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CAI) 점안이나 전신적 CAI를 복용 혹은 고삼투압제도 이용된다. 방수 내 PG의 증가를 막기 위하여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쓰는 것을 권장하는 주장도 있다. | ||
=== 항바이러스제 === | |||
최근 valganciclovir로 전방에서 CMV를 제거하면 빌병이 호전된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
== 수술적 치료 == | == 수술적 치료 == | ||
저절로 치유되는 경향이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특별하게 지주 발작하여 시신경의 손상이 진행하지 않으면 수술하지 않는다. 반면 자주 발작하여 시신경 및 시야 손상이 진행하는 경우는 녹내장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은 섬유주 절제술을 시행하며 수술 후 안압상승 발작이 줄어들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 저절로 치유되는 경향이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특별하게 지주 발작하여 시신경의 손상이 진행하지 않으면 수술하지 않는다. 반면 자주 발작하여 시신경 및 시야 손상이 진행하는 경우는 녹내장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은 섬유주 절제술을 시행하며 수술 후 안압상승 발작이 줄어들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