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10.1016/j.ophtha.2010.10.016 | |10.1016/j.ophtha.2010.10.016 | ||
}} | }} | ||
== 설계 == | |||
정해진 인구에서의 단면, 역학 연구 | |||
== 대상자 == | |||
남한의 시골 농업 지역인 남일면의 40세 이상의 거주민 | |||
== 결과 == | |||
이 지역의 1928명 거주민 중, 1532명 (79.5%) 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 |||
=== 녹내장의 유병률 === | |||
40세 이상 인구의 POAG 유병률은 3.5% (95% 신뢰 구간 (CI) : 2.7~4.3%) 이었다. | |||
* 안압 (이하 단위 mmHg) ≤ 21 : 2.7% (95% CI : 2.1~3.3%) | |||
* 안압 ≥ 22 : 0.8% (95% CI : 0.4~1.2%) | |||
POAG 환자의 평균 안압 (16.3 ± 4.6) 은 비녹내장안 (13.3 ± 2.7)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1). | |||
=== 각막 두께 (이하 단위 ㎛) === | |||
* POAG, 안압 ≤ 21 : 528 ± 26 | |||
* POAG, 안압 ≥ 22 : 531 ± 37 | |||
* 비녹내장안 : 530 ± 31 | |||
녹내장안과 비녹내장안의 각막 두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943, .996)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