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도시, 시골의 안압 분포) |
잔글 (→방법) |
||
66번째 줄: | 66번째 줄: | ||
== 방법 == | == 방법 == | ||
2007년 11월부터 2008년 2월 사이의 농한기를 이용하여 남일면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스크리닝 검사를 시행하였다. 스크리닝 검사는 4명의 녹내장 전문의, 2명의 검사직원, 1명의 간호사, 2명의 행정 직원이 담당하였으며 전신질환 유무, 안과 질환 유무를 묻는 설문조사를 포함해서 시력검사, 굴절값 측정, | 2007년 11월부터 2008년 2월 사이의 농한기를 이용하여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스크리닝 검사를 시행하였다. 스크리닝 검사는 4명의 녹내장 전문의, 2명의 검사직원, 1명의 간호사, 2명의 행정 직원이 담당하였으며 전신질환 유무, 안과 질환 유무를 묻는 설문조사를 포함해서 시력검사, 굴절값 측정, 세극등 현미경 검사, 골드만 안압계를 이용한 3회의 안압 측정, 90 D 렌즈를 이용한 안저검사, 전방각경 검사, 중심 각막 두께 (CCT) 측정, IOLMaster를 이용한 전방 깊이 (ACD) 및 안축장 (AL) 측정, frequency doubling technique (FDT) 를 이용한 시야 검사 및 안저 카메라를 이용한 안저 촬영이 시행되었다. 스크리닝 검사에서 20 mmHg 이상의 안압, 0.6 이상의 수직 유두 함몰비, 양안의 함몰비 차이가 0.2 이상, 시신경테의 이상소견, 시신경유두 출혈, 망막 신경섬유층 결손, 시야 이상, 좁은 전방각 등의 소견이 발견된 주민들을 대상으로 추가로 험프리 자동 시야검사계를 이용한 시야 검사, 빛간섭단층촬영(Stratus OCT) 또는 GDx-VCC 를 이용한 망막신경섬유층 정밀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결과는 4명의 녹내장 전문가로 구성된 판독위원회가 3회에 걸쳐 회의를 통해 International Society of Geographical & Epidemiological Ophthalmology의 녹내장 진단 기준을 바탕으로 판독하였다. | ||
세극등 현미경 검사, 골드만 안압계를 이용한 3회의 | |||
== 결과 == | == 결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