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결론) |
|||
84번째 줄: | 84번째 줄: | ||
=== 중심 각막 두께 (CCT, 이하 단위 ㎛) === | === 중심 각막 두께 (CCT, 이하 단위 ㎛) === | ||
접촉식 초음파 CCT 측정기 (IOPac; Heidelberg Engineering, Heidelberg, Germany) 를 이용하여 피험자가 앉은 자세로 멀리 있는 목표물을 주시한 상태에서 3회씩 측정한 값의 평균을 분석하였다. 총 1,504안에서 시행되었는데, 그중 녹내장이 있거나 예전에 백내장 수술이나 시력교정 수술을 받은 눈을 제외한 1,259안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 |||
* POAG, 안압 ≤ 21 : 528 ± 26 | * POAG, 안압 ≤ 21 : 528 ± 26 | ||
* POAG, 안압 ≥ 22 : 531 ± 37 | * POAG, 안압 ≥ 22 : 531 ± 37 | ||
* 비녹내장안 : 530 ± 31 | * 비녹내장안 : 530 ± 31 | ||
녹내장안과 비녹내장안의 각막 두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녹내장안과 비녹내장안의 각막 두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943, .996). 나이가 많을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CCT는 얇은 경향을 보였다. 안압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CCT가 100㎛ 두꺼울수록 안압이 1.9 mmHg 더 높았다. 전신 질환의 경우, 당뇨의 유무는 CCT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고혈압이 있는 경우, 없는 경우보다 CCT가 더 얇은 경향을 보였다. | ||
=== 도시, 시골의 안압 분포 === | === 도시, 시골의 안압 분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