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비전형적 (다발성))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맥락막 모반]] | * [[맥락막 모반]] | ||
* [[맥락막 흑색종]] | * [[맥락막 흑색종]] | ||
== 가족성 대장 용종증 (FAP) 과의 관계 == | == [[가족성 대장 용종증]] (FAP) 과의 관계 == | ||
위와 같은 전형적인 단독 또는 다발성 CHRPE는 FAP 또는 대장암과는 관련이 없다<ref>Shields JA et al. Lack of association among typical CHRPE, adenomatous polyposis, and Gardner syndrome. ''Ophthalmology''. 1992 Nov;99(11):1709-13. [https://pubmed.ncbi.nlm.nih.gov/1333580/ 연결]</ref>. 그러나 처음에 CHRPE로 잘못 불리었으나, 위 경우들과는 달리 특징적으로 양안에 발생하며, 구역적 분포 양상이 아니고 무작위로 퍼져 있는 분포를 보이며, 경계가 불규칙하고 들쭉날쭉한 경우에 가족성 대장암과 연관이 있는 FAP 또는 [[가드너 증후군]]을 강력하게 의심하고 관련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또한 FAP의 경우 100%에서 대장암이 발생하며, 70%에서 이러한 특징적인 안저 소견이 관찰된다. | 위와 같은 전형적인 단독 또는 다발성 CHRPE는 FAP 또는 대장암과는 관련이 없다<ref>Shields JA et al. Lack of association among typical CHRPE, adenomatous polyposis, and Gardner syndrome. ''Ophthalmology''. 1992 Nov;99(11):1709-13. [https://pubmed.ncbi.nlm.nih.gov/1333580/ 연결]</ref>. 그러나 처음에 CHRPE로 잘못 불리었으나, 위 경우들과는 달리 특징적으로 양안에 발생하며, 구역적 분포 양상이 아니고 무작위로 퍼져 있는 분포를 보이며, 경계가 불규칙하고 들쭉날쭉한 경우에 가족성 대장암과 연관이 있는 FAP 또는 [[가드너 증후군]]을 강력하게 의심하고 관련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또한 FAP의 경우 100%에서 대장암이 발생하며, 70%에서 이러한 특징적인 안저 소견이 관찰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