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립세포종: 두 판 사이의 차이

768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13일 (일)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조직학 소견 ==
== 조직학 소견 ==
과립상의 세포질을 가지며 이 과립들은 라이소자임이나 골지체의 구성 요소로 생각되며 전형적으로 PAS, S-100 단백질, NSE, CD57, CD68 등에 양성을 보인다<ref>Fernandes BF et al.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features of orbital granular cell tumor : case report. ''Arq Bras Oftalmol''. 2012 Mar-Apr;75(2):137-9. [https://pubmed.ncbi.nlm.nih.gov/22760808/ 연결]</ref>.
과립상의 세포질을 가지며 이 과립들은 라이소자임이나 골지체의 구성 요소로 생각되며 전형적으로 PAS, S-100 단백질, NSE, CD57, CD68 등에 양성을 보인다<ref>Fernandes BF et al.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features of orbital granular cell tumor : case report. ''Arq Bras Oftalmol''. 2012 Mar-Apr;75(2):137-9. [https://pubmed.ncbi.nlm.nih.gov/22760808/ 연결]</ref>.
Fanburg-Smith 등<ref>Fanburg-Smith JC et al. Malignant granular cell tumor of soft tissue : diagnostic criteria and clinicopathologic correlation. ''Am J Surg Pathol''. 1998 Jul;22(7):779-94. [https://pubmed.ncbi.nlm.nih.gov/9669341/ 연결]</ref>은 악성 과립세포종의 6가지 조직학적 특징을 보고하였다.
* 괴사
* 가늘고 긴 세포 모양
* 소포를 가진 큰 핵
* 유사분열의 활동성 (×200의 현미경 시야 당 3개 이상의 세포 분열이 있을 때)
* 높은 핵/세포질 비율
* 세포의 다형성
이러한 6가지 특징 중 3개 이상을 충족하는 경우 악성, 1~2개의 경우는 비정형, 국소적 세포 다형성만 존재하거나 충족하는 조건이 없는 경우를 양성으로 구분하였다.
== 치료, 예후 ==
== 치료, 예후 ==
* 양성 : 수술적 절제만으로도 성공적인 치료를 보이며 재발이 드물지만 불완전 절제가 되었을 경우 재발될 수 있다.
* 양성 : 수술적 절제만으로도 성공적인 치료를 보이며 재발이 드물지만 불완전 절제가 되었을 경우 재발될 수 있다.
* 악성 : 3~5년 이내 림프절 및 주변 장기로 전이가 발생하며 국소적 재발은 58%에 이른다.
* 악성 : 3~5년 이내 림프절 및 주변 장기로 전이가 발생하며 국소적 재발은 58%에 이른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