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병인) |
잔글 (→검사)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검사 == | == 검사 == | ||
* FA : 외상 후 초기에는 동맥 염색 및 모세혈관 누출 소견만을 보이기도 하지만, 점차 세동맥 및 세정맥 폐쇄를 동반한 비관류, 혈관벽의 염색, 정맥 확장 및 누출 소견을 보일 수 있다. | * FA : 외상 후 초기에는 동맥 염색 및 모세혈관 누출 소견만을 보이기도 하지만, 점차 세동맥 및 세정맥 폐쇄를 동반한 비관류, 혈관벽의 염색, 정맥 확장 및 누출 소견을 보일 수 있다. | ||
* ICGA : 맥락막 저형광 소견은 맥락막 순환 장애도 일으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 ICGA : 맥락막 저형광 소견은 맥락막 순환 장애도 일으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ref>Gomez-Ulla F et al. Choroidal vascular abnormality in Purtscher's retinopathy shown by ICGA. ''AJO''. 1996 Aug;122(2):261-3. [https://pubmed.ncbi.nlm.nih.gov/8694097/ 연결]</ref>. | ||
== 경과 == | == 경과 == | ||
치료하지 않아도 1~2개월 내에 망막 소견은 소실되며, 망막 색소상피 세포층 얼룩, 이측 시신경 유두 위축, 망막 혈관의 협쇄 혹은 혈관초 형성 등의 소견으로 대치되기도 한다.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치료, 고압 산소 치료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정립된 치료 방법은 없다. | 치료하지 않아도 1~2개월 내에 망막 소견은 소실되며, 망막 색소상피 세포층 얼룩, 이측 시신경 유두 위축, 망막 혈관의 협쇄 혹은 혈관초 형성 등의 소견으로 대치되기도 한다.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치료, 고압 산소 치료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정립된 치료 방법은 없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