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OPA1) |
잔글 (→OPA1)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OPA1'' (3q28-q29, 28~89%) 유전자는 69kb 이상의 범위에 걸치며 망막과 뇌에서 강하게 발현된다. 현재까지 감각 신경성 난청이 동반된 상염색체 우성 시신경 위축 플러스 증후군과 연관되어 알려진 유전자는 ''OPA1'' 의 Gc1334A 점 돌연변이 뿐이다. 국내에서는 최 등<ref>최윤석 등, ''OPA1'' 유전자의 c.1334G>A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 우성 시신경 위축 환자, ''JKOS'' 2022;63(3):325-329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598 연결]</ref>이 최초로 보고하였다. | ''OPA1'' (3q28-q29, 28~89%) 유전자는 69kb 이상의 범위에 걸치며 망막과 뇌에서 강하게 발현된다. 현재까지 감각 신경성 난청이 동반된 상염색체 우성 시신경 위축 플러스 증후군과 연관되어 알려진 유전자는 ''OPA1'' 의 Gc1334A 점 돌연변이 뿐이다. 국내에서는 최 등<ref>최윤석 등, ''OPA1'' 유전자의 c.1334G>A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 우성 시신경 위축 환자, ''JKOS'' 2022;63(3):325-329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598 연결]</ref>이 최초로 보고하였다. | ||
이 돌연변이는 ''OPA1'' 유전자의 445번째 아미노산인 아르기닌을 히스티딘으로 변화시키는 과오 | 이 돌연변이는 ''OPA1'' 유전자의 445번째 아미노산인 아르기닌을 히스티딘으로 변화시키는 과오 돌연변이이다. 문헌에 보고된 ''OPA1'' 유전자의 대부분의 과오 돌연변이는 GTPase domain에 존재하며, GTPase domain은 Dyn1에서 분자 내 또는 분자 간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TPase domain에 발생하는 돌연변이는 GTPase의 활성과 다른 단백질과의 상호작용도 손상시킬 수 있으며<ref>Payne M et al. DOA, sensorineural hearing loss, ptosis, and ophthalmoplegia : a syndrome caused by a missense mutation in OPA1. ''AJO''. 2004 Nov;138(5):749-55. [https://pubmed.ncbi.nlm.nih.gov/15531309/ 연결]</ref>, Barboni 등<ref name=r7>Barboni P et al. Early macular RGC loss in DOA :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AJO''. 2014 Sep;158(3):628-36.e3. [https://pubmed.ncbi.nlm.nih.gov/24907432/ 연결]</ref>은 DOA를 유발하는 돌연변이의 종류 중에서 과오돌연변이가 다른 종류의 돌연변이보다 상대적으로 심한 임상증상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 ||
''OPA1'' 유전자에 의해 생성되는 OPA1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융합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미토콘드리아 내의 oxidative phosphorylation complex와 상호작용하여 ATP를 생성하고 미토콘드리아 내막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ref>Alavi MV et al. DOA, OPA1, and mitochondrial quality control : understanding mitochondrial network dynamics. ''Mol Neurodegener''. 2013 Sep 25;8:32. [https://pubmed.ncbi.nlm.nih.gov/24067127/ 연결]</ref>. ''OPA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생할 경우, OPA1 단백질의 생성이 약 50%까지 감소하게 되며, 그 결과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가 유발된다<ref>Ferré M et al. Molecular screening of 980 cases of suspected hereditary optic neuropathy w a report on 77 novel OPA1 mutations. ''Hum Mutat''. 2009 Jul;30(7):E692-705. [https://pubmed.ncbi.nlm.nih.gov/19319978/ 연결]</ref><ref>Chun BY et al. DOA and LHON : Update on Clinical Features and Current Therapeutic Approaches. ''Semin Pediatr Neurol'. 2017 May;24(2):129-134. [https://pubmed.ncbi.nlm.nih.gov/28941528/ 연결]</ref>.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저하가 발생하면 다른 기관의 세포들보다 에너지 요구량이 많고, 해부학적, 생리적 이유로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에 가장 취약한 망막 신경절세포가 선택적으로 손상되어 양안의 중심 시력 저하 및 시신경 유두의 이측 창백 소견 등의 특징적인 임상 양상이 관찰된다<ref>Amati-Bonneau et al. OPA1-associated disorders : phenotypes and pathophysiology. ''Int J Biochem Cell Biol''. 2009 Oct;41(10):1855-65. [https://pubmed.ncbi.nlm.nih.gov/19389487/ 연결]</ref>. | ''OPA1'' 유전자에 의해 생성되는 OPA1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융합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미토콘드리아 내의 oxidative phosphorylation complex와 상호작용하여 ATP를 생성하고 미토콘드리아 내막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ref>Alavi MV et al. DOA, OPA1, and mitochondrial quality control : understanding mitochondrial network dynamics. ''Mol Neurodegener''. 2013 Sep 25;8:32. [https://pubmed.ncbi.nlm.nih.gov/24067127/ 연결]</ref>. ''OPA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생할 경우, OPA1 단백질의 생성이 약 50%까지 감소하게 되며, 그 결과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가 유발된다<ref>Ferré M et al. Molecular screening of 980 cases of suspected hereditary optic neuropathy w a report on 77 novel OPA1 mutations. ''Hum Mutat''. 2009 Jul;30(7):E692-705. [https://pubmed.ncbi.nlm.nih.gov/19319978/ 연결]</ref><ref>Chun BY et al. DOA and LHON : Update on Clinical Features and Current Therapeutic Approaches. ''Semin Pediatr Neurol'. 2017 May;24(2):129-134. [https://pubmed.ncbi.nlm.nih.gov/28941528/ 연결]</ref>.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저하가 발생하면 다른 기관의 세포들보다 에너지 요구량이 많고, 해부학적, 생리적 이유로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에 가장 취약한 망막 신경절세포가 선택적으로 손상되어 양안의 중심 시력 저하 및 시신경 유두의 이측 창백 소견 등의 특징적인 임상 양상이 관찰된다<ref>Amati-Bonneau et al. OPA1-associated disorders : phenotypes and pathophysiology. ''Int J Biochem Cell Biol''. 2009 Oct;41(10):1855-65. [https://pubmed.ncbi.nlm.nih.gov/19389487/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