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안압 황반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82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3일 (수)
잔글
27번째 줄: 27번째 줄:
* 여과포 누출 : 보존적인 치료로 방수 억제제, 압박 안대, 콜라겐 실드, 콘택트렌즈 등이 있다.
* 여과포 누출 : 보존적인 치료로 방수 억제제, 압박 안대, 콜라겐 실드, 콘택트렌즈 등이 있다.
* 과다 여과포 : 이러한 치료들의 효과가 제한적인 경우가 많아서 대부분 수술적인 치료가 시도된다. 여과포 주위 야그 레이저, 여과포 내 자가혈액 주사<ref>Wise JB. Treatment of chronic postfiltration hypotony by intrableb injection of autologous blood. ''Arch Ophthalmol''. 1993 Jun;111(6):827-30. [https://pubmed.ncbi.nlm.nih.gov/8512485/ 연결]</ref>, fibrinogen<ref>Yieh FS et al. The use of autologous fibrinogen concentrate in treating ocular hypotony after glaucoma filtration surgery. ''J Ocul Pharmacol Ther''. 2001 Oct;17(5):443-8. [https://pubmed.ncbi.nlm.nih.gov/11765149/ 연결]</ref> 등으로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결막의 전진술, 자가 유리결막 이식, 양막 이식, 공막 이식 등을 통하여 여과포를 다시 만들어주기도 한다.
* 과다 여과포 : 이러한 치료들의 효과가 제한적인 경우가 많아서 대부분 수술적인 치료가 시도된다. 여과포 주위 야그 레이저, 여과포 내 자가혈액 주사<ref>Wise JB. Treatment of chronic postfiltration hypotony by intrableb injection of autologous blood. ''Arch Ophthalmol''. 1993 Jun;111(6):827-30. [https://pubmed.ncbi.nlm.nih.gov/8512485/ 연결]</ref>, fibrinogen<ref>Yieh FS et al. The use of autologous fibrinogen concentrate in treating ocular hypotony after glaucoma filtration surgery. ''J Ocul Pharmacol Ther''. 2001 Oct;17(5):443-8. [https://pubmed.ncbi.nlm.nih.gov/11765149/ 연결]</ref> 등으로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결막의 전진술, 자가 유리결막 이식, 양막 이식, 공막 이식 등을 통하여 여과포를 다시 만들어주기도 한다.
=== 그 외 원인에 의한 경우 ===
안염증에 의한 저안압증은 우선적으로 염증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데 스테로이드 국소 또는 경우 투여가 필요하다. 백내장 수술 이후 창상의 유출로 인하여 발생된 경우 압박 안대나 전방내 공기 주입술을 해볼 수 있따.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에서 봉합을 하지 않음으로써 누출 관련 저안압증이 보고되고 있는데 절개창에 공막 봉합을 하거나 사선 방향으로 창상을 만들어 누출 관련 저안압의 발생 빈도를 낮출 수 있다<ref>Fine HF et al. Outcomes of 77 consecutive cases of 23G transconjunctival vitrectomy surgery for post. segment disease. ''Ophthalmology''. 2007 Jun;114(6):1197-200. [https://pubmed.ncbi.nlm.nih.gov/17544779/ 연결]</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