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감별 진단) |
잔글 (→원인)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역학 == | == 역학 == | ||
녹내장 여과 수술에서 최근 항대사제의 사용과 관련하여 많게는 약 20% 정도까지 보고하고 있다. 이는 흉터 형성의 감소로 인한 과여과의 영향이 크지만 모양체에 대한 독성의 영향으로 인하여 방수 생성의 감소로 인한 부분도 관여한다. 항대사제의 사용과 관련하여 발생은 항대사제의 농도, 노출 시간 등이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 녹내장 여과 수술에서 최근 항대사제의 사용과 관련하여 많게는 약 20% 정도까지 보고하고 있다. 이는 흉터 형성의 감소로 인한 과여과의 영향이 크지만 모양체에 대한 독성의 영향으로 인하여 방수 생성의 감소로 인한 부분도 관여한다. 항대사제의 사용과 관련하여 발생은 항대사제의 농도, 노출 시간 등이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 ||
== | == 기전 == | ||
황반부를 포함한 망막과 맥락막의 주름은 저안압에 의해 야기되는 공막의 수축과 공막의 내부 표면적 감소로 인해 발생된다<ref>Cangemi FE et al. Choroidal folds. ''AJO''. 1978 Sep;86(3):380-7. [https://pubmed.ncbi.nlm.nih.gov/717503/ 연결]</ref>. 또한 안압의 감소는 시신경 주변에 광범위한 맥락막 부종과 망막 주름을 유발하여 시신경 부종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안압의 감소는 방수의 생산 감소 또는 유출 증가로 발생되며, 많은 경우에서 이러한 두 가지 원인이 함께 관찰된다.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관련된 전신 인자들에 대한 연구에서 관상동맥 질환과 고혈압의 관련성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나 최근의 녹내장 여과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관련성이 없다는 상반된 보고와 함께 그들의 연구에서는 <span style='color:blue;'>젊은 나이, 남자, 근시</span> 등이 중요한 위험 인자이며 당뇨와 맥락막 삼출의 존재는 발생을 감소시키는 인자라는 보고를 하였다. 젊은 나이와 근시는 낮은 공막 경성이 중요한 요소라는 가설에 부합되는 인자로 생각되며 나이가 젊을수록 공막이 신축성을 가지고 근시일 경우 공막벽이 얇기 때문에 저안압 발생 시 공막벽의 허탈이 더욱 잘 일어남으로써 망막과 맥락막의 주름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그들의 연구에 의하면 수정체안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좀 더 근시의 경향을 보여 이 또한 낮은 공막 경성이 중요 기전이라는 사실에 부합되는 인자라 생각된다. | 관련된 전신 인자들에 대한 연구에서 관상동맥 질환과 고혈압의 관련성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나 최근의 녹내장 여과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관련성이 없다는 상반된 보고와 함께 그들의 연구에서는 <span style='color:blue;'>젊은 나이, 남자, 근시</span> 등이 중요한 위험 인자이며 당뇨와 맥락막 삼출의 존재는 발생을 감소시키는 인자라는 보고를 하였다. 젊은 나이와 근시는 낮은 공막 경성이 중요한 요소라는 가설에 부합되는 인자로 생각되며 나이가 젊을수록 공막이 신축성을 가지고 근시일 경우 공막벽이 얇기 때문에 저안압 발생 시 공막벽의 허탈이 더욱 잘 일어남으로써 망막과 맥락막의 주름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그들의 연구에 의하면 수정체안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좀 더 근시의 경향을 보여 이 또한 낮은 공막 경성이 중요 기전이라는 사실에 부합되는 인자라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