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안압 황반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35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3일 (수)
잔글
잔글 (→‎기전)
 
8번째 줄: 8번째 줄:
=== 방수 생성의 감소 ===
=== 방수 생성의 감소 ===
저안압의 드문 원인으로, 생성의 감소는 염증성, 혈관성 및 구조적인 원인으로 유발될 수 있다. 섬모체 염증은 포도막염 환자의 방수 생성을 저해할 수 있고 안과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심한 염증은 방수 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외상은 심각한 홍채섬모체염과 섬모체 해리, 혹은 안구 파열 등으로 저안압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혈관염이나 [[망막 동맥 폐쇄]] 환자의 안관류 허혈은 섬모체 허혈을 유발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원인으로는 섬모맥락막 삼출, 외상,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으로 인한 섬모체 박리가 있다.
저안압의 드문 원인으로, 생성의 감소는 염증성, 혈관성 및 구조적인 원인으로 유발될 수 있다. 섬모체 염증은 포도막염 환자의 방수 생성을 저해할 수 있고 안과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심한 염증은 방수 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외상은 심각한 홍채섬모체염과 섬모체 해리, 혹은 안구 파열 등으로 저안압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혈관염이나 [[망막 동맥 폐쇄]] 환자의 안관류 허혈은 섬모체 허혈을 유발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원인으로는 섬모맥락막 삼출, 외상,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으로 인한 섬모체 박리가 있다.
=== 방수 유출의 증가 ===
방수 생성에 비해 유출이 증가하게 되면 저안압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이 경우가 많다. 전안부 수술 후 창상 누출, 녹내장 수술 후 과도한 방수 여과로 방수 누출이 증가될 수 있고, 특히 녹내장 수술 중 항대사 물질의 사용은 저안압의 발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Costa VP et al. Hypotony maculopathy following the use of topical MMC in glaucoma filtration surgery. ''Ophthalmic Surg''. 1993 Jun;24(6):389-94. [https://pubmed.ncbi.nlm.nih.gov/8336889/ 연결]</ref>. 이는 항대사 물질로 인해 결막하 상처 부위 치유와 반흔 형성을 억제하여 과잉 여과를 유발함으로써 발생된다. 또한 작은 직경의 공막창과 봉합 없는 유리체 절제술의 도입으로 종종 저안압이 유발될 수 있다<ref>Thompson JT.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small gauge vitrectomy. ''Surv Ophthalmol''. 2011 Mar-Apr;56(2):162-72. [https://pubmed.ncbi.nlm.nih.gov/21236459/ 연결]</ref>. 안구 외상은 공막 파열과 창상 누출 등으로 저안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수술 후 혹은 외상 이후 발생될 수 있는 섬모체 해리는 전방과 맥락막상강하 공간의 교통을 만들어주어 포도막-공막 유출을 증가시키게 된다.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