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Smile님이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 문서를 증식 유리체망막병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증식 유리체망막병증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PVR)'''{{망막}} 은 망막 박리 수술 실패의 가장 흔한 (약 75%) 원인이다. | '''증식 유리체망막병증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PVR)'''{{망막}} 은 망막 박리 수술 실패의 가장 흔한 (약 75%) 원인이다. 이 병명은 미국 망막학회 용어 위원회 (the Retinal Society Terminology Committee)에서 처음 명명하였다<ref>The classification of RD w PVR. ''Ophthalmology''. 1983 Feb;90(2):121-5. [https://pubmed.ncbi.nlm.nih.gov/6856248/ 연결]</ref>. | ||
== 역학 == | == 역학 == | ||
망막 박리 수술의 5~10%에서 발생할 수 있고, 모든 나이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특히 어린이에서 증식 조직이 빨리 발생하기도 한다. 대부분 <span style='color:blue;'>수술 후 3개월 내</span> 발생하는데, 특히 2개월째가 위험성이 최대로 커지는 시기이다. | 망막 박리 수술의 5~10%에서 발생할 수 있고, 모든 나이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특히 어린이에서 증식 조직이 빨리 발생하기도 한다. 대부분 <span style='color:blue;'>수술 후 3개월 내</span> 발생하는데, 특히 2개월째가 위험성이 최대로 커지는 시기이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최근 <span style='color:blue;'>[[열공 망막 박리]] 수술을 받은 눈</span>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수술 과정에서 증식 세포가 유리체강으로 퍼져 나가고, 혈액-눈 장벽 손상으로 세포 증식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이다. 만성 망막 박리, 외상, 염증, 바이러스 감염 등의 경우에는 수술력과 관계 없이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이 자연 발생할 수 있다. | 최근 <span style='color:blue;'>[[열공 망막 박리]] 수술을 받은 눈</span>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수술 과정에서 증식 세포가 유리체강으로 퍼져 나가고, 혈액-눈 장벽 손상으로 세포 증식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이다. 만성 망막 박리, 외상, 염증, 바이러스 감염 등의 경우에는 수술력과 관계 없이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이 자연 발생할 수 있다. | ||
<span style='color:blue;'>거대 망막 열공, 유리체 출혈(수술 전, 중, 후), 2사분면보다 넓은 광범위 망막 박리, 술 후 맥락막 박리, 포도막염 또는 외상에 의해 염증이 증가한 경우, 다발성 또는 큰 열공에 과도한 냉동 응고술을 한 경우 그리고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이 이미 발생한 눈</span>과 같은 위험 요소를 가진 경우에는 수술 후 발생 또는 악화 여부를 면밀하게 관찰해야 한다.<br />냉동응고술은 망막 열공을 통해 망막 색소상피를 유리체강내로 퍼지게 하므로 여러 번의 냉동응고술과 냉동응고술 후 지나친 공막 누르기는 피해야 한다. | |||
== 분류 == | == 분류 == | ||
1989년 실리콘 연구 그룹(the Silicone Study Group)에서 분류법을 개정하였고, 1991년 현재의 분류법으로 일부 수정하였다. 망막 형태 변화의 심한 정도, 망막앞, 망막하 증식의 위치와 범위가 분류의 중요 요소이다. | 1989년 실리콘 연구 그룹(the Silicone Study Group)에서 분류법을 개정하였고, 1991년 현재의 분류법으로 일부 수정하였다. 망막 형태 변화의 심한 정도, 망막앞, 망막하 증식의 위치와 범위가 분류의 중요 요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