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망막 층간분리: 두 판 사이의 차이

357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7일 (일)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5번째 줄: 15번째 줄:
내외층 모두에 구멍이 발생하여 진행성으로 시력 장애를 일으키는 전층 RD는, 급하게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발생은 극히 드물어 전체 환자의 0.05%에서 발생하며, 공막 돌륭술이나 유리체 절제술 모두 결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된다.
내외층 모두에 구멍이 발생하여 진행성으로 시력 장애를 일으키는 전층 RD는, 급하게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발생은 극히 드물어 전체 환자의 0.05%에서 발생하며, 공막 돌륭술이나 유리체 절제술 모두 결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된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급성의 전형적 RD와 구별이 어렵지는 않으나 작은 위축성 원공으로 인한 만성 박리와는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막 누르개로 누르면 RD는 SRF의 유리체내 유출로 박리가 작아질 수 있으나 층간분리는 한 덩어리로 후극부로 밀리는 것으로 구분하기도 한다51. 또 박리 내측 경계부에 레이저 치료를 통해 레이저 화상이 발생하지 않는 RD와 발생하는 층간분리를 구분하기도 한다.51 최근에는 SD-OCT를 통해 주변부의 층간분리-박리, 망막 층간분리, RD 등을 더 잘 구분하기도 한다52.
급성의 전형적 RD와 구별이 어렵지는 않으나 작은 위축성 원공으로 인한 만성 박리와는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막 누르개로 누르면 RD는 SRF의 유리체내 유출로 박리가 작아질 수 있으나 층간분리는 한 덩어리로 후극부로 밀리는 것으로 구분하기도 한다<ref>Landers MB 3rd et al. Photocoagulation in the diagnosis of senile retinoschisis. ''AJO''. 1977 Jul;84(1):18-23. [https://pubmed.ncbi.nlm.nih.gov/561545/ 연결]</ref>. 또 박리 내측 경계부에 레이저 치료를 통해 레이저 화상이 발생하지 않는 RD와 발생하는 층간분리를 구분하기도 한다.51 최근에는 SD-OCT를 통해 주변부의 층간분리-박리, 망막 층간분리, RD 등을 더 잘 구분하기도 한다<ref>Yeoh J et al. Use of SD-OCT to differentiate acquired retinoschisis from RD in difficult cases. Retina. 2012 Sep;32(8):1574-80. [https://pubmed.ncbi.nlm.nih.gov/22481477/ 연결]</ref>.
 
== 경과 ==
== 경과 ==
층간분리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에 암점 등이 시야 검사에서 발견되기는 하나, 장기 관찰에서 층간분리 자체는 대부분 환자들에게 증상 발생이나 치료가 필요 없으며, 크기가 증가하거나 후극부로 심하게 침범되는 경우 및 시력저하를 야기하는 진행성의 망막박리로 진행하는 경우 등도 드물다. 후유리 체박리 또는 백내장 수술 등으로도 크게 변화가 없는 것을 통해 퇴행성 망막층간분리는 유리체 견인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 아니라 망막 자체의 문제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층간분리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에 암점 등이 시야 검사에서 발견되기는 하나, 장기 관찰에서 층간분리 자체는 대부분 환자들에게 증상 발생이나 치료가 필요 없으며, 크기가 증가하거나 후극부로 심하게 침범되는 경우 및 시력저하를 야기하는 진행성의 망막박리로 진행하는 경우 등도 드물다. 후유리 체박리 또는 백내장 수술 등으로도 크게 변화가 없는 것을 통해 퇴행성 망막층간분리는 유리체 견인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 아니라 망막 자체의 문제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