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망막 층간분리: 두 판 사이의 차이

38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7일 (일)
잔글
15번째 줄: 15번째 줄:
내층의 구멍 없이 외층에만 구멍이 생겨 층간분리된 망막 사이 액체가 망막 아래로 들어가 박리된다. 전체 환자의 6.4%에서 발생하며, 대부분 그 범위가 국소적이며, 찐득한 망막내 액체로 인해 그 진행이 매우 느려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드물며, 우선 주기적인 관찰을 먼저 권장한다. 간혹 후극부로 진행하는 경우에도 레이저 및 일반적인 RD 수술로도 치료 결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된다.
내층의 구멍 없이 외층에만 구멍이 생겨 층간분리된 망막 사이 액체가 망막 아래로 들어가 박리된다. 전체 환자의 6.4%에서 발생하며, 대부분 그 범위가 국소적이며, 찐득한 망막내 액체로 인해 그 진행이 매우 느려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드물며, 우선 주기적인 관찰을 먼저 권장한다. 간혹 후극부로 진행하는 경우에도 레이저 및 일반적인 RD 수술로도 치료 결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된다.
==== 진행성 RD ====
==== 진행성 RD ====
내외층 모두에 구멍이 발생하여 진행성으로 시력 장애를 일으키는 전층 RD는, 급하게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발생은 극히 드물어 전체 환자의 0.05%에서 발생하며, 공막 돌륭술이나 유리체 절제술 모두 결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된다.
내외층 모두에 구멍이 발생하여 진행성으로 시력 장애를 일으키는 전층 RD는, 급하게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발생은 극히 드물어 전체 환자의 0.05%에서 발생하며, 공막 돌륭술이나 유리체 절제술 모두 결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된다<ref>Byer NE. Long-term natural history study of senile retinoschisis w implications for management. Ophthalmology. 1986 Sep;93(9):1127-37. [https://pubmed.ncbi.nlm.nih.gov/3808625/ 연결]</ref><ref>Byer NE. Perspectives on the management of the complications of senile retinoschisis. ''Eye (Lond)''. 2002 Jul;16(4):359-64. [https://pubmed.ncbi.nlm.nih.gov/12101441/ 연결]</ref>.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