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원공 개존: 두 판 사이의 차이

70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8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과 Liu 등<ref>Liu X et al. PFO presenting as visual loss. JRSM Open. 2016 Dec 1;8(1):2054270416669302. [https://pubmed.ncbi.nlm.nih.gov/28203381/ 연결]</ref>은 갑작스러운 시력 저하를 주소로 내원한 건강한 성인에서 [[망막 분지동맥 폐쇄]] (BRAO) 소견이 보여 이에 대한 전신적 평가 중 PFO를 진단하였다. 2015년 Morjaria 등<ref>Morjaria R et al. An unusual presentation of PFO. ''JRSM Open''. 2015 Aug 19;6(8):2054270415596320. [https://pubmed.ncbi.nlm.nih.gov/26380102/ 연결]</ref>은 자궁내막증 병력이 있는 임신 10주차 32세 여성에서 발생한 RAO를 보고하였고, 저자들은 임신 중 양수액이 자궁혈관을 통해 역류하여 PFO를 지나 눈을 침범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과 Liu 등<ref>Liu X et al. PFO presenting as visual loss. JRSM Open. 2016 Dec 1;8(1):2054270416669302. [https://pubmed.ncbi.nlm.nih.gov/28203381/ 연결]</ref>은 갑작스러운 시력 저하를 주소로 내원한 건강한 성인에서 [[망막 분지동맥 폐쇄]] (BRAO) 소견이 보여 이에 대한 전신적 평가 중 PFO를 진단하였다. 2015년 Morjaria 등<ref>Morjaria R et al. An unusual presentation of PFO. ''JRSM Open''. 2015 Aug 19;6(8):2054270415596320. [https://pubmed.ncbi.nlm.nih.gov/26380102/ 연결]</ref>은 자궁내막증 병력이 있는 임신 10주차 32세 여성에서 발생한 RAO를 보고하였고, 저자들은 임신 중 양수액이 자궁혈관을 통해 역류하여 PFO를 지나 눈을 침범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국외에서는 PFO로 인한 [[망막 동맥 폐쇄]]에 관한증례가 보고된 바 있고<ref>Mohamed Q et al. RAO, migraine and PFO. ''BJO''. 2006 Nov;90(11):1432. [https://pubmed.ncbi.nlm.nih.gov/17057176/ 연결]</ref><ref>Sheth HG et al. Undiagnosed PFO presenting as RAO : an emerging association. ''J Ophthalmol''. 2009;2009:248269. [https://pubmed.ncbi.nlm.nih.gov/20309413/ 연결]</ref>, 국내에서도 안동맥 폐쇄 진단 후 전신 검사에서 PFO를 발견한 증례가 보고되었다<ref>최현규 등, 무증상 난원공 개존으로 인한 일시적인 안동맥 폐쇄 발작, ''JKOS'' 2022;63(4):406-41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610  
이외에도 편두통을 가진 환자들에서 발견된 RAO 증례도 보고되었다. Mohamed 등<ref>Mohamed Q et al. RAO, migraine and PFO. ''BJO''. 2006 Nov;90(11):1432. [https://pubmed.ncbi.nlm.nih.gov/17057176/ 연결]</ref>과 Sheth 등<ref>Sheth HG et al. Undiagnosed PFO presenting as RAO : an emerging association. ''J Ophthalmol''. 2009;2009:248269. [https://pubmed.ncbi.nlm.nih.gov/20309413/ 연결]</ref>은 편두통이 있는 젊은 성인이 갑작스럽게 발생한 시력저하로 내원하였고 안과적 검사를 통해 RAO를 진단받은 증례를 소개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전조 증상이 있는 편두통을 가진 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난원공개존이 4.56배 많이 발견되었고<ref>Wilmshurst P et al. Relationship between migraine and cardiac and pulmonary R-to-L shunts. ''Clin Sci (Lond)''. 2001 Feb;100(2):215-20. [https://pubmed.ncbi.nlm.nih.gov/11171291/ 연결]</ref>, Mohamed 등5의 증례 환자의 경우 PFO 폐쇄술을 통해 기존 편두통이 사라졌으며 향후 혈전 및 허혈성 뇌졸중 발생 위험도를 낮췄다.
 
국내에서도 안동맥 폐쇄 진단 후 전신 검사에서 PFO를 발견한 증례가 보고되었다<ref>최현규 등, 무증상 난원공 개존으로 인한 일시적인 안동맥 폐쇄 발작, ''JKOS'' 2022;63(4):406-41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610  
연결]</ref>.
연결]</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