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모양 각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27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5월 4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비정상적인 각막 표면이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사체 각막의 광학 현미경 소견에서 바닥막 바로 아래로 염증 세포와 섬유모세포가 모여들고 바닥막을 통과하여 보우만층을 침범하며 바닥막의 일부가 공포와 원섬유 물질로 대체됨이 밝혀져 있다. 이러한 소견을 바탕으로 바닥막 파괴에 의해 국소 바닥막의 박리가 일어나고, 박리된 바닥막은 점액과 변성된 각막 상피세포의 수용체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 대두된 바 있다. Tabery는 실제 생체현미경적 소견을 바탕으로 상기 소견과 일치하는 결과들을 발표했다.
비정상적인 각막 표면이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사체 각막의 광학 현미경 소견에서 바닥막 바로 아래로 염증 세포와 섬유모세포가 모여들고 바닥막을 통과하여 보우만층을 침범하며 바닥막의 일부가 공포와 원섬유 물질로 대체됨이 밝혀져 있다. 이러한 소견을 바탕으로 바닥막 파괴에 의해 국소 바닥막의 박리가 일어나고, 박리된 바닥막은 점액과 변성된 각막 상피세포의 수용체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 대두된 바 있다. Tabery는 실제 생체현미경적 소견을 바탕으로 상기 소견과 일치하는 결과들을 발표했다.
== 관련 질환 ==
== 원인 ==
* <span style='color:blue;'>[[건성 각결막염]] : 가장 흔히 연관된 각막 표면 질환</span>으로 눈물 중 점액과 수성층의 비율 변화가 실모양체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수성 눈물부종 환경에서는 결막 술잔 세포의 점액 분비가 늘어나는데, 점액은 탈락된 각막 상피세포를 처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건성안에서 실모양체의 형성이 촉진될 수 있다. 눈물 지방층의 양이나 점도가 증가할 경우 점액층이 작은 가닥들로 분해되고 이에 따라 각막 표면에 손상을 일
* <span style='color:blue;'>[[건성 각결막염]] : 가장 흔히 연관된 각막 표면 질환</span>으로 눈물 중 점액과 수성층의 비율 변화가 실모양체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수성 눈물부종 환경에서는 결막 술잔 세포의 점액 분비가 늘어나는데, 점액은 탈락된 각막 상피세포를 처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건성안에서 실모양체의 형성이 촉진될 수 있다. 눈물 지방층의 양이나 점도가 증가할 경우 점액층이 작은 가닥들로 분해되고 이에 따라 각막 표면에 손상을 일
* [[쇼그렌 증후군]]
* 바이러스성 각결막염
* 이식편대숙주 반응
* 눈꺼풀 처짐
* [[신경영양 각막염]]
== 증상 ==
== 증상 ==
경미한 것부터 눈부심, 눈꺼풀 연축, 눈물 흘림을 동반한 심한 이물감까지 매우 다양하다. 눈꺼풀 연축은 실모양체로 인한 통증 때문에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눈을 깜빡일 때 증상이 가장 심하며, 눈을 감고 있을 때 보통 증상이 경감된다.
경미한 것부터 눈부심, 눈꺼풀 연축, 눈물 흘림을 동반한 심한 이물감까지 매우 다양하다. 눈꺼풀 연축은 실모양체로 인한 통증 때문에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눈을 깜빡일 때 증상이 가장 심하며, 눈을 감고 있을 때 보통 증상이 경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