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아교질 교차 결합: 두 판 사이의 차이

19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5월 24일 (화)
잔글
6번째 줄: 6번째 줄:
각막의 물리적인 강도를 증가시켜서 [[원추각막]]과 각막 굴절 교정 수술 후 발생한 각막 확장증의 진행을 억제한다<ref>Raiskup-Wolf F et al. CXL with riboflavin and UV-A light in KC : long-term results. ''JCRS''. 2008 May;34(5):796-801. [https://pubmed.ncbi.nlm.nih.gov/18471635/ 연결]</ref>. 또한 이 교차 결합술은 예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비교적 각막이 얇거나 교정량이 많은 환자 또는 각막 형태 검사 상 경계성 안전성을 보인 환자에서 라식이나 PRK 수술과 함께 진행해서 각막 확장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각막의 물리적인 강도를 증가시켜서 [[원추각막]]과 각막 굴절 교정 수술 후 발생한 각막 확장증의 진행을 억제한다<ref>Raiskup-Wolf F et al. CXL with riboflavin and UV-A light in KC : long-term results. ''JCRS''. 2008 May;34(5):796-801. [https://pubmed.ncbi.nlm.nih.gov/18471635/ 연결]</ref>. 또한 이 교차 결합술은 예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비교적 각막이 얇거나 교정량이 많은 환자 또는 각막 형태 검사 상 경계성 안전성을 보인 환자에서 라식이나 PRK 수술과 함께 진행해서 각막 확장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 표준 규약 ==
== 표준 규약 ==
Wollensak 등<ref>Wollensak G et al. Riboflavin/UVA-induced CXL for the treatment of KC. ''AJO''. 2003 May;135(5):620-7. [https://pubmed.ncbi.nlm.nih.gov/12719068/ 연결]</ref>에 의해 임상적으로 처음 시행되었는데, 각막의 중심부를 7.0 mm를 표면 절제한 뒤, 리보플라빈을 점안하였으며 30여분간 370 nm의 자외선A에 3 mW/cm² 의 에너지로 노출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4년여간의 치료 후 경과를 보았을 때, 상기 치료는 각막 기질의 두께가 400 ㎛ 이상인 환자에서 시행될 경우 내피세포의 독성을 비추어 봤을 때 안전하며, 원추각막 진행의 지연과 시력의 호전, 각막 지형도의 수치들의 호전이 일관되게 획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Caporossi A et al. Parasurgical therapy for KC by riboflavin-UVA rays induced cross-linking of corneal collagen : preliminary refractive results in an Italian study. ''JCRS''. 2006 May;32(5):837-45. [https://pubmed.ncbi.nlm.nih.gov/16765803/ 연결]</ref>.
Wollensak 등<ref>Wollensak G et al. Riboflavin/UVA-induced CXL for the treatment of KC. ''AJO''. 2003 May;135(5):620-7. [https://pubmed.ncbi.nlm.nih.gov/12719068/ 연결]</ref>에 의해 임상적으로 처음 시행되었는데, 각막의 중심부를 7.0 mm를 표면 절제한 뒤, 리보플라빈을 점안하였으며 30여분간 370 nm의 자외선A에 3 mW/cm² 의 에너지로 노출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Dresden protocol). 4년여간의 치료 후 경과를 보았을 때, 상기 치료는 각막 기질의 두께가 400 ㎛ 이상인 환자에서 시행될 경우 내피세포의 독성을 비추어 봤을 때 안전하며, 원추각막 진행의 지연과 시력의 호전, 각막 지형도의 수치들의 호전이 일관되게 획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Caporossi A et al. Parasurgical therapy for KC by riboflavin-UVA rays induced cross-linking of corneal collagen : preliminary refractive results in an Italian study. ''JCRS''. 2006 May;32(5):837-45. [https://pubmed.ncbi.nlm.nih.gov/16765803/ 연결]</ref>.


가속 각막 콜라겐 교차결합술은 최근 들어서 소개된 치료법으로 시술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기존의 치료 표준 규약에 변형이 가해진 기법으로, 짧은 시간과 간편한 술기로 인해 한동안 전통적 방법을 대체하여 널리 사용되었다. 최근 연구에서는 2가지의 치료 표준 규약이 사용된다.
가속 각막 콜라겐 교차결합술은 최근 들어서 소개된 치료법으로 시술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기존의 치료 표준 규약에 변형이 가해진 기법으로, 짧은 시간과 간편한 술기로 인해 한동안 전통적 방법을 대체하여 널리 사용되었다. 최근 연구에서는 2가지의 치료 표준 규약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