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임상 소견)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가 있다. 신경절이전섬유가 손상되면 같은 쪽 얼굴 전체에, 신경절이후 섬유가 손상되면 같은 쪽 이마에 국한되어 발생하는데, 이는 얼굴로 가는 땀분비 신경은 외경동맥을 따라 주행하고 이마로 가는 신경섬유만 내경동맥을 따라 주행하기 때문이다. | 가 있다. 신경절이전섬유가 손상되면 같은 쪽 얼굴 전체에, 신경절이후 섬유가 손상되면 같은 쪽 이마에 국한되어 발생하는데, 이는 얼굴로 가는 땀분비 신경은 외경동맥을 따라 주행하고 이마로 가는 신경섬유만 내경동맥을 따라 주행하기 때문이다. | ||
* 결막 충혈 : 결막혈관의 교감신경 손상으로 인한 증상이다. | * 결막 충혈 : 결막혈관의 교감신경 손상으로 인한 증상이다. | ||
* 안면 홍조 : 교감신경이 손상된 직후에는 얼굴의 혈관이 확장되어 안면홍조가 생기고 피부 온도가 올라간다. | * 안면 홍조 : 교감신경이 손상된 직후에는 얼굴의 혈관이 확장되어 안면홍조가 생기고 피부 온도가 올라간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탈신경 초민감성 (denervation supersensitivity) 이 나타나 혈관이 수축하여 오히려 피부가 창백해진다<ref>Kanagalingam S et al. Horner syndrome : clinical perspectives. ''Eye Brain''. 2015 Apr 10;7:35-46. [https://pubmed.ncbi.nlm.nih.gov/28539793/ 연결]</ref>. | ||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탈신경 초민감성 (denervation supersensitivity) 이 나타나 혈관이 수축하여 오히려 피부가 창백해진다<ref>Kanagalingam S et al. Horner syndrome : clinical perspectives. ''Eye Brain''. 2015 Apr 10;7:35-46. [https://pubmed.ncbi.nlm.nih.gov/28539793/ 연결]</ref>.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