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압평 안압계: 두 판 사이의 차이

365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6월 1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단점)
24번째 줄: 24번째 줄:
# 조정 손잡이의 눈급을 10배로 하여 단위는 mmHg로 안압을 기록하며, 측정 시간도 기록한다. 측정이 곤란했던 경우나 달느 부정확할 수 있는 요인이 있었던 경우에는 나중에 참고하도록 함께 기록해둔다.
# 조정 손잡이의 눈급을 10배로 하여 단위는 mmHg로 안압을 기록하며, 측정 시간도 기록한다. 측정이 곤란했던 경우나 달느 부정확할 수 있는 요인이 있었던 경우에는 나중에 참고하도록 함께 기록해둔다.
# 아데노바이러스나 헤르페스성 바이러스 질환, B형 간염, 후천성 면역 결핍증 등과 같은 질환의 환자에서 안압 측정을 한 경우에는 감염의 전파를 막기 위해 즉시 흐르는 물에 씻은 후 10% sodium hypochlorite 용액이나, 3% hydrogen peroxide 또는 70% isopropyl alcohol 에 5분간 이중 프리즘을 담근다.
# 아데노바이러스나 헤르페스성 바이러스 질환, B형 간염, 후천성 면역 결핍증 등과 같은 질환의 환자에서 안압 측정을 한 경우에는 감염의 전파를 막기 위해 즉시 흐르는 물에 씻은 후 10% sodium hypochlorite 용액이나, 3% hydrogen peroxide 또는 70% isopropyl alcohol 에 5분간 이중 프리즘을 담근다.
== 단점 ==
== 단점<ref>Rüfer F. [Sources of error in GAT]. ''Ophthalmologe''. 2011 Jun;108(6):546-52. German. [https://pubmed.ncbi.nlm.nih.gov/21533609/ 연결]</ref> ==
각막 생체 인자가 값에 영향을 미칠 있고, 값 해석에 주관적인 요소가 개입할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특히 세극등 현미경을 이용해야만 하므로, 앉을 수 없는 환자는 안압을 측정할 수 없다.
* 세극등현미경에 붙어있기 때문에 똑바로 앉는 자세를 취할 없는 고령이나 어린 아이에서는 측정이 어렵다.
* 안압 측정 시 각막에 접촉이 필요하기 때문에 점안 마취가 필요하고,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우 측정이 불가하다.
* 중심 각막 두께 (CCT) 가 불규칙하거나 심한 난시가 있는 경우에도 측정이 어렵다.
* 값 해석에 주관적인 요소가 개입할 수 있다.
 
== 오차의 요인 ==
== 오차의 요인 ==
* 반원의 폭 : 폭이 넓으면 높게 측정되며 좁으면 낮게 측정된다.
* 반원의 폭 : 폭이 넓으면 높게 측정되며 좁으면 낮게 측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