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 시신경 수막종: 두 판 사이의 차이

63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6월 5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이차 시신경 수막종 (secondary optic nerve sheath meningioma)'''{{신경안과}} 은 접형골이나 전두골의 뇌쪾에서 발생한 수막종이 시신경의 경막하강을 통해 안와내 또는 관내로 침범한 것이다. 안와에 발생한 수막종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주로 후각 고랑, 접형골 편평부 그리고 안장 결절에서 기원한다.
'''이차 시신경 수막종 (secondary optic nerve sheath meningioma)'''{{신경안과}} 은 접형골이나 전두골의 뇌쪾에서 발생한 수막종이 시신경의 경막하강을 통해 안와내 또는 관내로 침범한 것이다. 안와에 발생한 수막종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주로 후각 고랑, 접형골 편평부 그리고 안장 결절에서 기원한다.
== 검사 ==
* CT : 두개골 및 종양의 석회화 상태를 잘 관찰할 수 있다. 과골화증 (hyperostic bone) 이나 골 파괴 등의 다양한 두개골 변형이 약 15~20%에서 나타나며, 조영제를 투여하면 음영이 증가되는 수막종을 관찰할 수 있다.
* MRI : 안와첨과 시신경 교차 주위에서 수막종의 범위를 관찰하는 데 유용하며 조영 증강되는 종괴를 확인할 수 있다. 악성 수막종은 종양 내부의 괴사 및 주변과의 불확실하고 불규칙한 경계를 보이며, 심한 뇌부종이나 출혈을 동반한 소견이 관찰될 수 있다.
== 치료 ==
== 치료 ==
수술과 더불어 방사선 치료를 주로 사용한다. 뇌를 침범한 수막종의 경우 종양 절제술이 표준 치료법으로 수술의 목적은 가능한 한 침범된 경막과 두개골을 포함하여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종양의 완전 제거가 어렵거나 신경 손상의 위험이 큰 경우에는 일부 종양을 남기고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수술과 더불어 방사선 치료를 주로 사용한다. 뇌를 침범한 수막종의 경우 종양 절제술이 표준 치료법으로 수술의 목적은 가능한 한 침범된 경막과 두개골을 포함하여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종양의 완전 제거가 어렵거나 신경 손상의 위험이 큰 경우에는 일부 종양을 남기고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