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전환 장애 (conversion disorder) : 심리적 갈등이나 욕구를 표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 기능의 상실이나 변화가 있을 때 전환 장애로 진단한다. 과거에는 '히스테리아' 라고도 불렸다. 전환 장애 환자는 계획적이지 않지만 증상을 표출해 일차적 이득 (스트레스의 감소) 과 이차적 이득 (관심) 을 얻을 수 있다. | * 전환 장애 (conversion disorder) : 심리적 갈등이나 욕구를 표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 기능의 상실이나 변화가 있을 때 전환 장애로 진단한다. 과거에는 '히스테리아' 라고도 불렸다. 전환 장애 환자는 계획적이지 않지만 증상을 표출해 일차적 이득 (스트레스의 감소) 과 이차적 이득 (관심) 을 얻을 수 있다. | ||
* 건강 염려증 (hypochondriasis) : 스스로 심각한 이상이 있다고 믿거나 염려한다. 스스로를 과도하게 관찰하면서 얻은 여러 부위의 다양한 증상을 보고하면서 의사에게 증상의 심각성을 이해시키려고 노련한다. 전신의 여러 기관계의 다양한 증상을 호소한다는 점에서 신체추형 장애와는 구별된다. | * 건강 염려증 (hypochondriasis) : 스스로 심각한 이상이 있다고 믿거나 염려한다. 스스로를 과도하게 관찰하면서 얻은 여러 부위의 다양한 증상을 보고하면서 의사에게 증상의 심각성을 이해시키려고 노련한다. 전신의 여러 기관계의 다양한 증상을 호소한다는 점에서 신체추형 장애와는 구별된다. | ||
* 신체화 장애 | * 신체화 장애 (somatization disoder) : 여러 부위의 신체적 불편을 반복적으로 호소한다. 건강 염려증처럼 여러 기관계의 이상을 호소하지만 불만 증상이 뚜렷하지 않고 불분명하며 대개 우울 또는 불안 장애를 가지고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