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치료) |
잔글 (→치료)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은 종양 조절과 시력 호전이다. 시력이 매우 좋거나 시력 저하가 선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경과를 관찰하면 된다. | 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은 종양 조절과 시력 호전이다. 시력이 매우 좋거나 시력 저하가 선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경과를 관찰하면 된다. | ||
=== 보존적 방법 === | === 보존적 방법 === | ||
대부분의 수막종은 성장이 느리고 두개 내로 퍼지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종양의 크기가 작고 환자의 증상 변화가 없다면 특별한 치료 없이 추적 관찰할 수 | 대부분의 수막종은 성장이 느리고 두개 내로 퍼지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종양의 크기가 작고 환자의 증상 변화가 없다면 특별한 치료 없이 추적 관찰할 수 있다<ref>이은경 등, 한국에서의 시신경 수막종 환자의 임상 양상 및 치료 결과, ''JKOS'' 2011;52(1):74-8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018 연결]</ref>,33. 이는 시력 저하가 거의 없거나 다른 내과적 문제로 적절한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에서는 중요한 치료 전략 중 하나이다. 하지만 [[시신경 교종]]과 달리 스스로 좋아지는 경우는 거의 없고, 종양의 성장으로 인하여 시력 저하가 발생하면서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시력, 색각, 시야 검사를 최소 6개월 간격으로 하고 MRI 검사도 1~2년간은 6개월 간격으로 하고, 그 이후에는 1년 간격으로 하여 임상적, 영상의학적 변화를 면밀히 관찰한다. | ||
=== 방사선 === | === 방사선 === | ||
현재의 일차 치료법이며, 시력 저하가 진행되지만 아직 시력이 남아 있는 경우에 권유된다. 방사선 치료는 1980년대부터 단독으로 또느 아전 적출술 등 후에 추가적 치료로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그 당시에는 합병증 때문에 활발하게 시행되지는 못하였다. 시신경 수막종을 치료하려면 50Gy 정도의 방사선 조사가 필요하였고, 그 정도의 방사선 용량은 시신경, 망막, 뇌하수체, 중추 신경계 등에 방사선으로 인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문제가 되었다. | 현재의 일차 치료법이며, 시력 저하가 진행되지만 아직 시력이 남아 있는 경우에 권유된다. 방사선 치료는 1980년대부터 단독으로 또느 아전 적출술 등 후에 추가적 치료로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그 당시에는 합병증 때문에 활발하게 시행되지는 못하였다. 시신경 수막종을 치료하려면 50Gy 정도의 방사선 조사가 필요하였고, 그 정도의 방사선 용량은 시신경, 망막, 뇌하수체, 중추 신경계 등에 방사선으로 인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문제가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