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향 눈떨림: 두 판 사이의 차이

4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6월 16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b>하향 눈떨림 (downbeat nystagmus)</b> == 원인 == 소뇌, 두개-경수 접합부의 병변 및 부근의 혈관 병변, 척추 동맥에 의한 꼬리쪽 뇌간 압박, 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하향 눈떨림 (downbeat nystagmus)</b>
'''하향 눈떨림 (downbeat nystagmus)'''{{신경안과}}
== 원인 ==
== 원인 ==
소뇌, 두개-경수 접합부의 병변 및 부근의 혈관 병변, 척추 동맥에 의한 꼬리쪽 뇌간 압박, 소뇌 전위, 소뇌 변성, 척추-뇌바닥 동맥의 긴머리 확장증, 약물 중독 등이 있을 때 나타난다.
소뇌, 두개-경수 접합부의 병변 및 부근의 혈관 병변, 척추 동맥에 의한 꼬리쪽 뇌간 압박, 소뇌 전위, 소뇌 변성, 척추-뇌바닥 동맥의 긴머리 확장증, 약물 중독 등이 있을 때 나타난다.
6번째 줄: 6번째 줄: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제일 안위에서도 나타나지만 [[알렉산더 법칙]]에 따라 <span style='color:blue;'>하방 주시 때 강도가 가장 크고</span> 상방 주시 때 가장 작다. 느린 파형은 선형이지만 가속형일 때도 있는데(알렉산더 법칙에 위배) 이는 주시 유지 기전이 불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하방 및 외측주시 때 가장 잘 관찰되고 주시를 못하게 해도 느린 단계 속도에는 별 변화가 없다.<br />원활 하향 눈운동에 지장이 있으므로 수직 원활 추종이나 수직 전정 안반사가 비정상이고 상방 전정 안반사는 이득이 *0 이상으로 활동 과다를 보이기도 한다. 수평 주시 유지, 원활 추종, 머리눈 추적 등의 장애도 동반된다. 눈모음은 눈떨림의 빈도와 진폭에 영향을 주며 하향 눈떨림을 [[상향 눈떨림]]으로 바꾸기도 한다. 환자가 수직 복시를 호소하면 [[스큐 편위]]가 동반된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하향 눈떨림의 결과로 떨림 보기와 자세 불안정이 생긴다.
제일 안위에서도 나타나지만 [[알렉산더 법칙]]에 따라 <span style='color:blue;'>하방 주시 때 강도가 가장 크고</span> 상방 주시 때 가장 작다. 느린 파형은 선형이지만 가속형일 때도 있는데(알렉산더 법칙에 위배) 이는 주시 유지 기전이 불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하방 및 외측주시 때 가장 잘 관찰되고 주시를 못하게 해도 느린 단계 속도에는 별 변화가 없다.<br />원활 하향 눈운동에 지장이 있으므로 수직 원활 추종이나 수직 전정 안반사가 비정상이고 상방 전정 안반사는 이득이 *0 이상으로 활동 과다를 보이기도 한다. 수평 주시 유지, 원활 추종, 머리눈 추적 등의 장애도 동반된다. 눈모음은 눈떨림의 빈도와 진폭에 영향을 주며 하향 눈떨림을 [[상향 눈떨림]]으로 바꾸기도 한다. 환자가 수직 복시를 호소하면 [[스큐 편위]]가 동반된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하향 눈떨림의 결과로 떨림 보기와 자세 불안정이 생긴다.
{{참고}}
{{눈떨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