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치아 인공 각막: 두 판 사이의 차이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2년 6월 21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골-치아 인공 각막 (osteo-odonto-keratoprosthesis; OOKP)'''{{각막}} 은 1960년대 Strampelli이 이탈리아에서 처음 사용했으며<ref>Strampelli B.\[Osteo-odontokeratoprosthesis]. ''Ann Ottalmol Clin Ocul''. 1963 Dec;89:1039-44. Italian. [https://pubmed.ncbi.nlm.nih.gov/14118572/ 연결]</ref>, 이후 Falcinelli가 이를 변형했다<ref>Falcinelli G et al. Modified OOKP for treatment of corneal blindness : long-term anatomical and functional outcomes in 181 cases. ''Arch Ophthalmol''. 2005 Oct;123(10):1319-29. [https://pubmed.ncbi.nlm.nih.gov/16219722/ 연결]</ref>. 환자 본인의 치조골에 싸인 치아로 고안된 판에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재질의 광학용 원기둥을 위치시킨 구조이며, 강한 구강 점막이나 다른 생체막으로 덮는다.
'''골-치아 인공 각막 (osteo-odonto-keratoprosthesis; OOKP)'''{{각막}} 은 1960년대 Strampelli이 이탈리아에서 처음 사용했으며<ref>Strampelli B. [Osteo-odontokeratoprosthesis]. ''Ann Ottalmol Clin Ocul''. 1963 Dec;89:1039-44. Italian. [https://pubmed.ncbi.nlm.nih.gov/14118572/ 연결]</ref>, 이후 Falcinelli가 이를 변형했다<ref>Falcinelli G et al. Modified OOKP for treatment of corneal blindness : long-term anatomical and functional outcomes in 181 cases. ''Arch Ophthalmol''. 2005 Oct;123(10):1319-29. [https://pubmed.ncbi.nlm.nih.gov/16219722/ 연결]</ref>. 환자 본인의 치조골에 싸인 치아로 고안된 판에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재질의 광학용 원기둥을 위치시킨 구조이며, 강한 구강 점막이나 다른 생체막으로 덮는다.
== 장점 ==
== 장점 ==
비생체막으로 지지하는 [[보스톤 인공 각막]]과 비교하여 각질화된 환경이나 건성안에서 노출되는 비율이 낮다.
비생체막으로 지지하는 [[보스톤 인공 각막]]과 비교하여 각질화된 환경이나 건성안에서 노출되는 비율이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