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부 층판 각막 이식: 두 판 사이의 차이

859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6월 28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광학적 (optical) 이식
* 광학적 (optical) 이식
* 치료적 (therapeutic) 이식
* 치료적 (therapeutic) 이식
== 적응증 ==
=== 치료 ===
*  조직 결손의 채움 : 각막 중심부의 궤양 또는 외상에 동반된 데스메막류나 미세 천공, 류마티스 질환과 동반된 주변 각막 질환, [[테리엔 각막 가장자리 변성]] 등에 시행한다.
* 병적 부위의 제거 후 채움 : 재발 군날개나 [[[윤부 유피종|유피종]]의 경우 병변 부위가 일반적으로 윤부이므로 윤부 이식을 시행하고, 사이즈가 큰 경우 기증 각막을 이용하여 크기와 두께를 고려하여 이식편을 봉합한다15.
* 안구 표면 재건을 위한 바닥막 정비 및 상피세포의 공급 : 열이나 화학 물질에 의한 각결막 반흔성 질환,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무렌  각막 궤양]] 등에는 각막 상피 성형술 혹은 윤부 이식을 시행한다16,17.
=== 광학적 ===
== 장점 ==
== 장점 ==
내피세포를 이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층 각막 이식]] (PKP) 과 비교할 때 거부 반응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더구나 술기 자체아 안내 수술이 아니므로 홍채 유착, 수술 후 녹내장 등의 합병증이 적을 뿐 아니라 보존 각막으로도 수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내피세포를 이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층 각막 이식]] (PKP) 과 비교할 때 거부 반응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더구나 술기 자체아 안내 수술이 아니므로 홍채 유착, 수술 후 녹내장 등의 합병증이 적을 뿐 아니라 보존 각막으로도 수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