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띠 각막병증 (band keratopathy) 은 칼슘 침착 형태와 침착되지 않는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띠 각막병증이란 용어는 칼슘 침착 형태를 말한다. 각막 변성으로 분류되며, <span style='color:blue;'>각막의 보우만층에 걸친 침착</span>이다. | ''''띠 각막병증 (band keratopathy)'''{{각막}} 은 칼슘 침착 형태와 침착되지 않는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띠 각막병증이란 용어는 칼슘 침착 형태를 말한다. 각막 변성으로 분류되며, <span style='color:blue;'>각막의 보우만층에 걸친 침착</span>이다. | ||
== 역학 == | == 역학 == | ||
병변은 대개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나, 안구 건조증 환자에서는 칼슘 침착이 수주에 걸쳐 발생하는 현상이 보고되었다. | 병변은 대개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나, 안구 건조증 환자에서는 칼슘 침착이 수주에 걸쳐 발생하는 현상이 보고되었다.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엑시머 레이저 치료 각막 절제술 : 시축을 맑게 하고 시력을 호전시키기 위해 시행한다. 표면이 매끄러운 띠 각막병증에는 바로 시행할 수 있으나, 표면이 거친 경우 메스를 이용한 커다란 칼슘 제거, 조직 절제와 매끄러운 표면을 위한 마스킹 용액이 필요하다. | * 엑시머 레이저 치료 각막 절제술 : 시축을 맑게 하고 시력을 호전시키기 위해 시행한다. 표면이 매끄러운 띠 각막병증에는 바로 시행할 수 있으나, 표면이 거친 경우 메스를 이용한 커다란 칼슘 제거, 조직 절제와 매끄러운 표면을 위한 마스킹 용액이 필요하다. | ||
* 양막 : 외과적 제거 후 안구 표면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 * 양막 : 외과적 제거 후 안구 표면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 ||
{{참고 | {{참고}} | ||
{{각결막 변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