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 외사시: 두 판 사이의 차이

144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9월 18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영아 외사시 (infantile exotropia)'''{{사시}} 는 생후 6개월 이전에 발생하여 1세 이전에 발견되고 35 PD 이상의 비교적 크고 안정된 사시각을 특징으로 하며<ref>김용민 등, 항상 외사시를 보이는 영아 외사시의 임상 양상, 한안지 2006;47:1316-22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260 연결]</ref>, 영아 사시 증후군 (infantile strabismus complex) 라고도 한다<ref>Kraft SP. Infantile exotropia. In : Rosenbaum AL, Santiago AP, eds. Clinical Strabismus Management : Principles and surgical techniques. Philadelphia: WB Saunders, 1999:176-81.</ref>.
'''영아 외사시 (infantile exotropia)'''{{사시}} 는 생후 6개월 이전에 발생하여 1세 이전에 발견되고 35 PD 이상의 비교적 크고 안정된 사시각을 특징으로 하며<ref>김용민 등, 항상 외사시를 보이는 영아 외사시의 임상 양상, 한안지 2006;47:1316-22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260 연결]</ref><ref>사공민 등, 영아 외사시의 임상 양상, 한안지 2005;46(1):103-11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5745 연결]</ref>, 영아 사시 증후군 (infantile strabismus complex) 라고도 한다<ref>Kraft SP. Infantile exotropia. In : Rosenbaum AL, Santiago AP, eds. Clinical Strabismus Management : Principles and surgical techniques. Philadelphia: WB Saunders, 1999:176-81.</ref>.
== 역학 ==
== 역학 ==
30,000명 중 1명 꼴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Biglan 등은 일차 영아 외사시의 유병률은 0.1%, 영아 내사시는 3.6%로 영아 외사시가 영아 내사시보다 드물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30,000명 중 1명 꼴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Biglan 등은 일차 영아 외사시의 유병률은 0.1%, 영아 내사시는 3.6%로 영아 외사시가 영아 내사시보다 드물게 나타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