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헐 내사시: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9월 24일 (토)
잔글
잔글 (→‎수술)
19번째 줄: 19번째 줄:


=== 수술 ===
=== 수술 ===
근육 눈피로가 있거나 자주 사시가 나타 날 때,복시 같은 증세가 있을 때 굴절 이상을 완전히 교정한 뒤,사위의 크기가 과교정의 위험이 적은 12 PD 이상으로 안정되었을 때에 시행한다. 수술의 양은 잠복이나 간헐성 혹은 현성에 관계 없이 사시각을 모두 교정하여 눈을 똑바르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두눈 내직근 후전술이 가장 흔히 사용되지만한 눈에서 내직근 후전과 외직근 절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소아의 경우 약간 과교정이 되어도 융합이 가능하지만 어른의 경우 크기가 아무리 작더라도 속발 외사시가 되면 복시가 생겨서 견디기 힘들다. 운동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융합력의 범위는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므로 어른 특히 50세 이상의 연령에서의 사위 환자에서는 먼저 프리즘 처방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먼저 시도하고 마지막으로 수술을 선택한다<ref name=r7 />.
근육 눈피로가 있거나 자주 사시가 나타 날 때,복시 같은 증세가 있을 때 굴절 이상을 완전히 교정한 뒤,사위의 크기가 과교정의 위험이 적은 12 PD 이상으로 안정되었을 때에 시행한다. 수술의 양은 잠복이나 간헐성 혹은 현성에 관계 없이 사시각을 모두 교정하여 눈을 똑바르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두눈 내직근 후전술이 가장 흔히 사용되지만 한 눈에서 내직근 후전과 외직근 절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소아의 경우 약간 과교정이 되어도 융합이 가능하지만 어른의 경우 크기가 아무리 작더라도 속발 외사시가 되면 복시가 생겨서 견디기 힘들다. 운동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융합력의 범위는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므로 어른 특히 50세 이상의 연령에서의 사위 환자에서는 먼저 프리즘 처방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먼저 시도하고 마지막으로 수술을 선택한다<ref name=r7 />.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