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낭외 적출술: 두 판 사이의 차이

3,966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0월 11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백내장 낭외 적출술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ECCE))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백내장 낭외 적출술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ECCE)
'''백내장 낭외 적출술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ECCE)'''{{백내장}} 은 전낭을 절개한 후 수정체를 제거하고 수정체낭을 남 겨 놓는 수술방법이다. 1970년대 이후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는 [[백내장 낭내 적출술]] (ICCE) 을 대체하게 되었다1. 고전적인 낭외 적출술은 10mm 각막 윤부 절개를 통해 수정체핵을 제거하고 각막 봉합을 하는 방법이나, 이후 공막 터널을 통한 수정체 제거, 6~7mm의 절개를 시행하고 (일부 방법은 4~5mm) 봉합하지 않는 이른바 수기 소절개 백내장 수술 (manual small incision cataract surgery, MSICS) 이 개발되었다.2
== 적응증 ==
거의 모든 백내장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탈구 혹은 아탈구 수정체에는 적절하지 않다. 핵이 매우 단단하거나 동공 확장이 잘 되지 않는 경우, 후유착이 있는 경우, [[거짓비늘 증후군]]이나 유리체 절제술 후 백내장 수술처럼 섬모체 소대가 약해진 경우, 각막 내피세포 밀도가 낮은 경우, 전낭 섬유화가 동반된 경우에는 낭외 적출술을 이용하면 안전하게 수술할 수 있다. 수정체 유화술을 계획했더라도 술 중 수정체 유화술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낭외 적출술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상보다 핵이 매우 단단하거나, 전낭 절개 중 방사상 찢김이 발생하거나, 트리판 블루를 사용해도 전낭이 잘 확인되지 않을 때, 후낭 파열이 발생했을 때, 술 중 섬모체 소대 해리가 발생했을 때이다. 선진국에서는 수정체 유화술이 보편화되었지만, 개발도상국에서는 비용의 문제로 수정체 유화술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낭외 적출술이 대안이 될 수 있다.
== 장점 ==
합병 백내장에서 안정성이 좋다.
== 단점 ==
수정체 유화술과 비교했을 때 난시 유발이 더 크고<ref>Werblin TP. Astigmatism after cataract extraction : 6y FU of 6.5- and 12- mm incisions. ''Refract Corneal Surg''. 1992 Nov-Dec;8(6):448-58. [https://pubmed.ncbi.nlm.nih.gov/1493118/ 연결]</ref>, 수술 후 굴절력의 안정성이 적으며, 초기 염증반응이 더 심하고<ref>Laurell CG et al. Randomized study of the BAB reaction after PE and ECCE. ''Acta Ophthalmol Scand''. 1998 Oct;76(5):573-8. [https://pubmed.ncbi.nlm.nih.gov/9826042/ 연결]</ref><ref>Pande MV et al. Postop. inflammatory response to PE and extracapsular cataract surgery : aqueous flare and cells. ''JCRS''. 1996;22 Suppl 1:770-4. [https://pubmed.ncbi.nlm.nih.gov/9279670/ 연결]</ref>, 10,11 후낭 혼탁이 발생할 확률이 더 크다<ref>Minassian DC et al. ECCE c/w small incision surgery by PE : a randomised trial. ''BJO''. 2001 Jul;85(7):822-9. [https://pubmed.ncbi.nlm.nih.gov/11423457/ 연결]</ref>.
== 수술 방법 ==
=== 인공수정체 삽입 ===
점탄 물질로 전방을 채운 후 주절개창을 봉합한 경우에는 봉합사를 제거한 후 인공수정체를 삽입한다. 점탄 물질로 전방을 채운 후 인공수정체를 주절개창을 통해 넣는다. 지지부를 삽입할 때는 각막의 안쪽으로 접히도록 하여 각막 내피세포를 보호한다. V자 전낭절개를 시행한 경우에는 전낭 조각이 시야를 가리게 되므로,인공수정체 삽입 후 vannas 가위로 전낭 조각을 자른 후에 점탄 물질과 함께 전낭 조각을 제거한다.
=== 점탄 물질 제거 및 봉합 ===
10mm 절개창을 만든 경우에는 삽입관이 들어갈 부분을 제외하고 10-0 나일론으로 봉합한 후 점탄 물질을 제거한 후 나머지 부분을 봉합한다. 수기 소절개 백내장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주절개창을 봉합하지 않아도 되며, 이후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 결막하 주사를 결막 절개 바로 위쪽에 시행하여 결막이 부풀어 주절개창 부위를 덮게하면 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