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원인) |
잔글 (→원인)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보존제, 안정제 === | === 보존제, 안정제 === | ||
각막 내피세포는 대부분의 점안액이나 용액에 첨가되어 있는 보존제에 굉장히 취약하다<ref>Parikh CH et al. Ocular surgical pharmacology : corneal endothelial safety and toxicity. ''Curr Opin Ophthalmol''. 2003 Aug;14(4):178-85. [https://pubmed.ncbi.nlm.nih.gov/12888714/ 연결]</ref>. 대표적인 보존제인 염화 벤잘코늄 (BAC) 이 들어있는 용액을 사용한 후 심각한 각막부종과 각막 내피 손상이 일어 났다는 보고가 여러 차례 있었다<ref>Britton B et al. Intraocular irritation evaluation of BAC in rabbits. ''Ophthalmic Surg''. 1976 Fall;7(3):46-55. [https://pubmed.ncbi.nlm.nih.gov/980377/ 연결]</ref>. 더욱이 BAC를 점탄물질의 보존제로 사용하면 심한 각막부종을 일으킨다고 보고되었으므로 전안부 수술 시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Bisulphite나 metabisulphite와 같이 [[에피네프린]]의 산동 지속 효과를 더 긴 환원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안정제들이 아무런 제재 없이 사용된 적이 있었는데, 이들 역시 TASS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ref>Edelhauser HF et al. Corneal edema and the intraocular use of epinephrine. ''AJO''. 1982 Mar;93(3):327-33. [https://pubmed.ncbi.nlm.nih.gov/7072796/ 연결]</ref>. 따라서 전안부 수술에서는 될 수 있으면 보존제나 안정제가 첨가된 약물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각막 내피세포는 대부분의 점안액이나 용액에 첨가되어 있는 보존제에 굉장히 취약하다<ref>Parikh CH et al. Ocular surgical pharmacology : corneal endothelial safety and toxicity. ''Curr Opin Ophthalmol''. 2003 Aug;14(4):178-85. [https://pubmed.ncbi.nlm.nih.gov/12888714/ 연결]</ref>. 대표적인 보존제인 염화 벤잘코늄 (BAC) 이 들어있는 용액을 사용한 후 심각한 각막부종과 각막 내피 손상이 일어 났다는 보고가 여러 차례 있었다<ref>Britton B et al. Intraocular irritation evaluation of BAC in rabbits. ''Ophthalmic Surg''. 1976 Fall;7(3):46-55. [https://pubmed.ncbi.nlm.nih.gov/980377/ 연결]</ref>. 더욱이 BAC를 점탄물질의 보존제로 사용하면 심한 각막부종을 일으킨다고 보고되었으므로 전안부 수술 시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Bisulphite나 metabisulphite와 같이 [[에피네프린]]의 산동 지속 효과를 더 긴 환원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안정제들이 아무런 제재 없이 사용된 적이 있었는데, 이들 역시 TASS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ref>Edelhauser HF et al. Corneal edema and the intraocular use of epinephrine. ''AJO''. 1982 Mar;93(3):327-33. [https://pubmed.ncbi.nlm.nih.gov/7072796/ 연결]</ref>. 따라서 전안부 수술에서는 될 수 있으면 보존제나 안정제가 첨가된 약물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
=== 점탄 물질 === | |||
=== 항생제 === | |||
=== 마취제 === | |||
=== 안구내 염색 === | |||
=== 유리체강 주사 === | |||
=== 기구의 소독과 세척 === | |||
== 임상 양상 == | == 임상 양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