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 전안부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195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0월 24일 (월)
잔글
잔글 (→‎치료)
잔글 (→‎치료)
53번째 줄: 53번째 줄:
* 스테로이드 : 초기 치료로 강한 점안용 스테로이드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독성 물질로 인한 조직 손상의 진행은 물론 이차적인 면역학적 염증 반응도 줄일 수 있다. 점안용 prednisolone acetate 1%를 1~2시간에 한 번씩 점안하도록 하고 수일 동안 임상 양상 변화를 관찰해야 한다.
* 스테로이드 : 초기 치료로 강한 점안용 스테로이드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독성 물질로 인한 조직 손상의 진행은 물론 이차적인 면역학적 염증 반응도 줄일 수 있다. 점안용 prednisolone acetate 1%를 1~2시간에 한 번씩 점안하도록 하고 수일 동안 임상 양상 변화를 관찰해야 한다.
* 안압 확인 : 독성 반응으로 인하여 섬모체의 방수 생성 저하로 초기에 안압이 낮더라도, 염증 반응이 줄어들면서 섬모체의 기능 회복으로 방수 생성이 증가하여 안압이 높아질 수 잇으므로 안압도 주기적으로 꼭 확인해야 한다. 각막, 홍채 뿐 아니라 섬유주에도 손상을 주며 [[주변 홍채앞 유착]]이 생겨 안압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역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 안압 확인 : 독성 반응으로 인하여 섬모체의 방수 생성 저하로 초기에 안압이 낮더라도, 염증 반응이 줄어들면서 섬모체의 기능 회복으로 방수 생성이 증가하여 안압이 높아질 수 잇으므로 안압도 주기적으로 꼭 확인해야 한다. 각막, 홍채 뿐 아니라 섬유주에도 손상을 주며 [[주변 홍채앞 유착]]이 생겨 안압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역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 YAG 레이저 : 지연형 TASS에서는 각막이나 [[인공수정체]]에 지방 성분이 혼합된 침착물이 생기는데, 이 때는 YAG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 경과 ==
== 경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