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 전안부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1,13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0월 24일 (월)
잔글
36번째 줄: 36번째 줄:
일반적으로 후안부에는 특별한 소견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기존의 문헌에서 유리체 흐림, [[낭포 황반부종]], 맥락막 두께 증가등이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후안부에는 특별한 소견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기존의 문헌에서 유리체 흐림, [[낭포 황반부종]], 맥락막 두께 증가등이 보고되었다.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 세포 독성 ===
관련된 병인들은 모두 세포 독성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다.18 특이한 화학 물질과의 관련성이 없기 때문에 질병이 발생했을 때 확인하는 과정이 매우 어렵다.
=== 활성 산소 ===
복잡한 전안부 수술을 할 때 전방 내에 주입한 물질로 인해 활성 산소가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TASS가 발생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 등은 안과 수술에 사용하는 제제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백내장 수술 과정에서 특히 [[수정체 유화술]]을 시행할 때 활성 산소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 혈액-방수 장벽 ===
섬모체 상피와 홍채의 모세혈관 내피로 구성되어 있다. 홍채의 모세혈관은 연속형이며 밀착 연접을 통해 단단하게 이어져 있다.36 독성으로 유발된 염증과 방수 역학의 변화는 [[혈액-방수 장벽]]의 파괴를 초래하며, 이로 인해 홍채와 [[섬유주]]가 손상을 받아 방수 흐림, 섬유소 반응 및 전방 축농 등의 임상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37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