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혈액-방수 장벽)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독성 전안부 증후군 (toxic anterior segment syndrome; TASS)'''{{백내장}} 은 전안부 수술 후에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발생하는 비감염성 존벙 염증이다<ref>Hernandez-Bogantes E et al. TASS : A review. ''Surv Ophthalmol''. 2019 Jul-Aug;64(4):463-476. [https://pubmed.ncbi.nlm.nih.gov/30703402/ 연결]</ref><ref>Park CY et al. TASS : an updated review. ''BMC Ophthalmol''. 2018 Oct 25;18(1):276. [https://pubmed.ncbi.nlm.nih.gov/30359246/ 연결]</ref>. | '''독성 전안부 증후군 (toxic anterior segment syndrome; TASS)'''{{백내장}} 은 전안부 수술 후에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발생하는 비감염성 존벙 염증이다<ref name=r2>Hernandez-Bogantes E et al. TASS : A review. ''Surv Ophthalmol''. 2019 Jul-Aug;64(4):463-476. [https://pubmed.ncbi.nlm.nih.gov/30703402/ 연결]</ref><ref>Park CY et al. TASS : an updated review. ''BMC Ophthalmol''. 2018 Oct 25;18(1):276. [https://pubmed.ncbi.nlm.nih.gov/30359246/ 연결]</ref>. | ||
== 역사 == | == 역사 == | ||
1970년대 후반 [[백내장 낭내 적출술]]에서 [[백내장 낭외 적출술]]로 술기가 바뀌고 수정체 유화술이 소개되면서 백내장 수술 이후 비감염성 전안부 염증이 보고되기 시작했다. 이후 1980년대에 인공수정체의 잔여 연마제에 의한 무균성 전방 축농, 독성 각막 내피세포 파괴 증후군 (toxic endothelial cell destruction syndrome, TECDS)<ref>Breebaart AC et al. Toxic endothelial cell destruction of the cornea after routine ECCE. ''Arch Ophthalmol''. 1990 Aug;108(8):1121-5. [https://pubmed.ncbi.nlm.nih.gov/2383201/ 연결]</ref> 및 국소적 안내염 등으로 묘사되었다. 1992년 Monson 등이 무균성 수술 후 안내염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 혹은 [[독성 전안부 증후군]]이라고 보고했고, 각막 내피세포에 특히 심한 손상이 있는 경우는 독성 각막 내피세포 파괴 증후군으로 별도 분류되었다. | 1970년대 후반 [[백내장 낭내 적출술]]에서 [[백내장 낭외 적출술]]로 술기가 바뀌고 수정체 유화술이 소개되면서 백내장 수술 이후 비감염성 전안부 염증이 보고되기 시작했다. 이후 1980년대에 인공수정체의 잔여 연마제에 의한 무균성 전방 축농, 독성 각막 내피세포 파괴 증후군 (toxic endothelial cell destruction syndrome, TECDS)<ref>Breebaart AC et al. Toxic endothelial cell destruction of the cornea after routine ECCE. ''Arch Ophthalmol''. 1990 Aug;108(8):1121-5. [https://pubmed.ncbi.nlm.nih.gov/2383201/ 연결]</ref> 및 국소적 안내염 등으로 묘사되었다. 1992년 Monson 등이 무균성 수술 후 안내염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 혹은 [[독성 전안부 증후군]]이라고 보고했고, 각막 내피세포에 특히 심한 손상이 있는 경우는 독성 각막 내피세포 파괴 증후군으로 별도 분류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