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역사) |
잔글 (→유리체강 주사)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 안구내 염색 === | === 안구내 염색 === | ||
=== 유리체강 주사 === | === 유리체강 주사 === | ||
유리체강 내로 주사한 약물은 3일 이내에 [[방수]]로 들어갈 수 있으며,anti-VEGF의 유리체강 주사 이후 비감염성의 염증이 몇 차례 보고되고 있다<ref>Knickelbein JE et al. Intraocular Inflammation Following Intravitreal Injection of Anti-VEGF Medications for wAMD. ''Ophthalmic Epidemiol''. 2016;23(2):69-70. [https://pubmed.ncbi.nlm.nih.gov/26996429/ 연결]</ref>. 2015년, 앞쪽 유리체강으로 주사한 트리암시놀론과 [[목시플록사신]] 복합제가 TASS로 불리는 전방 및 후방 염증을 유발하여 해당 제품이 전량 회수된 사례도 있다<ref>Marticorena J et al. Sterile endophthalmitis after intravitreal injections. ''Mediators Inflamm''. 2012;2012:928123. [https://pubmed.ncbi.nlm.nih.gov/22973075/ 연결]</ref>. | |||
=== 기구의 소독과 세척 === | === 기구의 소독과 세척 === | ||
ASCRS의 TASS task force의 보고에 따르면, TASS의 주된 요인은 부적절한 기구 세척, 살균, 효소 세제, 초음파 세척 등으로 알려졌다.3 특히 소독에 사용하는 효소 세제가 내독소로 작용할 수 있는데, 재사용하는 점탄 물질 주입 바늘이나 수정체 유화기 첨단부의 내강에 잔존하여 원인이 될 수 있다. 수술 후 기기들을 고압 멸균할 때 발생하 는 증기에도 황산염, 구리, 이산화규소 등이 잔여물로 남아서 독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고압 멸균의 온도는 보통 섭씨 120~130℃ 사이에서 이루어지므로 세균 자체는 사멸할 수 있지만,섭씨 140℃ 이상에서 파괴되는 내열성 세균 내독소는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알코올 소독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ref>Tsaousis KT, et al. Comparison of different types of PE tips. I. Quantitative analysis of elemental composition and tip surface microroughness. ''JCRS''. 2016 Sep;42(9):1345-1352. [https://pubmed.ncbi.nlm.nih.gov/27697254/ 연결]</ref>.29 | ASCRS의 TASS task force의 보고에 따르면, TASS의 주된 요인은 부적절한 기구 세척, 살균, 효소 세제, 초음파 세척 등으로 알려졌다.3 특히 소독에 사용하는 효소 세제가 내독소로 작용할 수 있는데, 재사용하는 점탄 물질 주입 바늘이나 수정체 유화기 첨단부의 내강에 잔존하여 원인이 될 수 있다. 수술 후 기기들을 고압 멸균할 때 발생하 는 증기에도 황산염, 구리, 이산화규소 등이 잔여물로 남아서 독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고압 멸균의 온도는 보통 섭씨 120~130℃ 사이에서 이루어지므로 세균 자체는 사멸할 수 있지만,섭씨 140℃ 이상에서 파괴되는 내열성 세균 내독소는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알코올 소독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ref>Tsaousis KT, et al. Comparison of different types of PE tips. I. Quantitative analysis of elemental composition and tip surface microroughness. ''JCRS''. 2016 Sep;42(9):1345-1352. [https://pubmed.ncbi.nlm.nih.gov/27697254/ 연결]</ref>.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