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55
번
잔글 (→역사) |
잔글 (→역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레이저 (laser)'''{{망막}} 란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의 머리 글자를 모은 약자이다. '유도 방출에 의한 빛의 증폭' 이라는 뜻이며, '유도 방출에 의하여 증폭된 빛을 발생시키는 장치' 라는 고유명사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여기서 '레이저를 쬐다' 라는 동사로 'lase' 가 파생되었다. | '''레이저 (laser)'''{{망막}} 란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의 머리 글자를 모은 약자이다. '유도 방출에 의한 빛의 증폭' 이라는 뜻이며, '유도 방출에 의하여 증폭된 빛을 발생시키는 장치' 라는 고유명사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여기서 '레이저를 쬐다' 라는 동사로 'lase' 가 파생되었다. | ||
== 역사 == | == 역사 == | ||
Meyer-Schmickerath<ref>Mayer-Schwickerath G: Light Coagularion. St. Louis, CV Mosby, 1960.</ref>는 1946년에 태 양광선을 이용하여 망막 화상을 만드는 연구를 처음 시작 하였다. 뒤에 고강도의 탄소아크 등이 인공적인 광원으로 사용되었으나 필라멘트의 짧은 수명, 탄소 입자, 그을음 과 함께 가스를 방출하고 예기치 않은 화상을 입혀 그 사 용이 제한되었다. 제논아크광은 태양광선과 유사한 범위 의 파장을 방출하고 전구의 수명이 길며 비교적 균일하고 강한 출력을 낼 수 있어서 1958년부터 임상적으로 | Meyer-Schmickerath<ref>Mayer-Schwickerath G: Light Coagularion. St. Louis, CV Mosby, 1960.</ref>는 1946년에 태 양광선을 이용하여 망막 화상을 만드는 연구를 처음 시작 하였다. 뒤에 고강도의 탄소아크 등이 인공적인 광원으로 사용되었으나 필라멘트의 짧은 수명, 탄소 입자, 그을음 과 함께 가스를 방출하고 예기치 않은 화상을 입혀 그 사 용이 제한되었다. 제논아크광은 태양광선과 유사한 범위 의 파장을 방출하고 전구의 수명이 길며 비교적 균일하고 강한 출력을 낼 수 있어서 1958년부터 임상적으로 이용되었다. | ||
1960년에 Maiman에 의해 소개된 최초의 안과용 레01저는 루비 입자를 사용하였다. 루비에 의한 출력은 694nm의 파장을 가지며 응집성이 높아서 안구 매체를 잘 투과 하고 정확하게 초점을 맞추어 망막 화상을 일으킬 수 있다. 적색 파장이라서 망막 혈관이상 병소는 응고가 잘되지 않았다. 아르곤 청녹색 레이저는 I960년대 후반에 레이저 광응고술의 영역에 도입되었다. 처음의 레이저 방출 기구는 직접 또는 간접 검안경을 01용하였다. 후기에 도입된 세극 등 레이저 방출 기구로 안저 광음고 지점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었다. | 1960년에 Maiman에 의해 소개된 최초의 안과용 레01저는 루비 입자를 사용하였다. 루비에 의한 출력은 694nm의 파장을 가지며 응집성이 높아서 안구 매체를 잘 투과 하고 정확하게 초점을 맞추어 망막 화상을 일으킬 수 있다. 적색 파장이라서 망막 혈관이상 병소는 응고가 잘되지 않았다. 아르곤 청녹색 레이저는 I960년대 후반에 레이저 광응고술의 영역에 도입되었다. 처음의 레이저 방출 기구는 직접 또는 간접 검안경을 01용하였다. 후기에 도입된 세극 등 레이저 방출 기구로 안저 광음고 지점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었다. | ||
크립톤 적색 레이저는 1980년대 초반에, 색소 레이저는 1980년대 중반에, 다이오드 레이저는 1980년대 후반에 개발되었다. 고체 상태이며 2배의 주파수를 지닌 | 크립톤 적색 레이저는 1980년대 초반에, 색소 레이저는 1980년대 중반에, 다이오드 레이저는 1980년대 후반에 개발되었다. 고체 상태이며 2배의 주파수를 지닌 야그 레이저는 1971년에 처음 소개되었으나 1990년대 초반 이후 상용화되었다. | ||
== 원리 == | == 원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