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형 과립 각막이상증: 두 판 사이의 차이

955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2월 26일 (월)
잔글
4번째 줄: 4번째 줄:
== 유전, 병인 ==
== 유전, 병인 ==
상염색체 우성 유전하는 질환으로, Stone 등은 격자 각막 이상증 1형, 제 1, 2형 과립 각막 이상증이 모두 5번 염색체 장완(5q31)의 TGF-β 유발 유전자 (TGFβI)의 돌연변이로 발생한다고 보고하고, 이와 관련된 질환들을 통칭하여 TGFβI 연관 각막 이상증이라고 불렀다.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은 Arg124His 돌연변이이다. 이로 인해 생성된 비정상적인 단백질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induced protein, TGFBIp) 이 각막세포 외기질에 침착되어 혼탁을 유발한다<ref>Kheir V et al. Mutation update : TGFBI pathogenic and likely pathogenic variants in corneal dystrophies. ''Hum Mutat''. 2019 Jun;40(6):675-693. [https://pubmed.ncbi.nlm.nih.gov/30830990/ 연결]</ref><ref>Munier FL et al. Kerato-epithelin mutations in 4 5q31-linked corneal dystrophies. ''Nat Genet''. 1997 Mar;15(3):247-51. [https://pubmed.ncbi.nlm.nih.gov/9054935/ 연결]</ref><ref>Streeten BW et al. Immunolocalization of beta ig-h3 protein in 5q31-linked corneal dystrophies and normal corneas. ''Arch Ophthalmol''. 1999 Jan;117(1):67-75. [https://pubmed.ncbi.nlm.nih.gov/9930162/ 연결]</ref>.
상염색체 우성 유전하는 질환으로, Stone 등은 격자 각막 이상증 1형, 제 1, 2형 과립 각막 이상증이 모두 5번 염색체 장완(5q31)의 TGF-β 유발 유전자 (TGFβI)의 돌연변이로 발생한다고 보고하고, 이와 관련된 질환들을 통칭하여 TGFβI 연관 각막 이상증이라고 불렀다.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은 Arg124His 돌연변이이다. 이로 인해 생성된 비정상적인 단백질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induced protein, TGFBIp) 이 각막세포 외기질에 침착되어 혼탁을 유발한다<ref>Kheir V et al. Mutation update : TGFBI pathogenic and likely pathogenic variants in corneal dystrophies. ''Hum Mutat''. 2019 Jun;40(6):675-693. [https://pubmed.ncbi.nlm.nih.gov/30830990/ 연결]</ref><ref>Munier FL et al. Kerato-epithelin mutations in 4 5q31-linked corneal dystrophies. ''Nat Genet''. 1997 Mar;15(3):247-51. [https://pubmed.ncbi.nlm.nih.gov/9054935/ 연결]</ref><ref>Streeten BW et al. Immunolocalization of beta ig-h3 protein in 5q31-linked corneal dystrophies and normal corneas. ''Arch Ophthalmol''. 1999 Jan;117(1):67-75. [https://pubmed.ncbi.nlm.nih.gov/9930162/ 연결]</ref>.
세포 내의 TGFBIp는 용해소체 (lysosome) 를 통해 제거되는데, 배양된 GCD2 각막 섬유모세포에서는 이러한 기능이 손상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다<ref>Choi SI et al. Lysosomal dysfunction of corneal fibroblasts underlies the pathogenesis of GCD2 and can be rescued by TFEB. ''J Cell Mol Med''. 2020 Sep;24(18):10343-10355. [https://pubmed.ncbi.nlm.nih.gov/32667742/ 연결]</ref>. 또한 GCD2 각막 섬유모세포를 배양하여 분석한 결과, TGF-β 수용체 관련 신호 외에 세포 분화 및 분열, 면역 체계, 세포 부착 등과 관련된 유전자가 다수 과발현되는 것이 보고되었으며<ref>Choi SI et al. Involvement of TGF-β receptor- and integrin-mediated signaling pathways in the pathogenesis of GCD2. ''IOVS''. 2010 Apr;51(4):1832-47. [https://pubmed.ncbi.nlm.nih.gov/19933198/ 연결]</ref>, GCD2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떨어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21


== 분류 ==
== 분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