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인식 불능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6월 6일 (화) 06:24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시각 인식 불능 (visual agnosia)[1] 은 시지각, 주의력, 지능, 언어 능력은 충분한데도 시각 정보로는 익숙한 사물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유형[2]

  • 연상형 (associative) : 시각적으로 묘사는 할 수 있으나 뇌에 저장된 사물에 대한 정보로 연결하지 못함
  • 인식형 (apperceptive) : 시각적으로 사물의 형태에 대한 묘사가 불가능하여 인지하지 못함
    • 시각형 (visual form) : 사물의 형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단순한 도형조차도 구별하지 못하기도 하며, 사물 그림을 따라 그리도록 하면 형편없이 그린다.
    • 통합형 (integrative form) : 사물의 형태를 어느 정도 인지하고, 비록 시간이 걸리지만 사물의 각 부분 부분을 그릴 수는 있으나 물체를 전체적으로 인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 전환형 (transformation form) : 사물을 익숙하지 않은 방향에서 보여줄 때 잘 인지하는 못하는 유형으로 3차원적 형태를 묘사하지 못하나 실생활에서 큰 어려움은 없다.

진단

우선 사물 인지에 필요한 시력이나 시야에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환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물을 그 소리나 촉감을 통해서 인지한다면 장애가 시각에 국한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Riddoch MJ et al. Visual agnosia. Neurol Clin. 2003 May;21(2):501-20.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