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린트 증후군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6월 6일 (화) 14:53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발린트 증후군 (Bálint's syndrome)[1] 는 Bálint 가 처음 보고하였으며, 양쪽 두정 후두 피질 병변에서 나타난 고전적인 세 가지 증상이다.

  1. 동시 실인증 (simultanagnosia) : 어떤 정면을 볼 때 부분 부분 나누어서는 보지만 전체를 파악하지 못함
  2. 안구 운동 실행증 (ocular motor apraxia) : 자발적으로 사물을 향해 눈을 움직이지 못함
  3. 시각 실조 (optic ataxia) : 시각의 유도에 따라 손을 움직이지 못함

이후 세 가지 증상이 항상 동시에 나타나지는 않고 다양한 조합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하나의 병변으로 인한 증상이라기 보다는 가까이 있는 뇌영역의 광범위한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2].

임상 양상

주의력이나 공간 위치 선정 (spatial localization), 행동 유도 (action guidance) 등의 장애로 인해, 주변의 시자극으로 주의를 전환하지 못하여 물체에 자주 부딪히고 한 사물에 시선을 고정하고 다른 사물로 시선을 돌리지 못하는 등 심한 장애를 겪는다.

동시 실인증

시각 인식 불능과 달리 물체를 인식할 수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보지 못하고 국소적으로 보게 된다. 공간 주의력 결핍으로 동시에 둘 이상의 사물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고 주의 전환도 어렵다[3]. 환자는 주변 시야가 정상인 경우에도 불구하고 마치 시야 장애가 있는 것처럼 길을 걷다 사물에 부딪히거나 사물을 잘 찾지 못하는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환자에게 여러 가지 요소를 그린 그림을 보여 주고 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하면 각각의 부분은 인지하나 전체적인 틀을 보지 못하는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그림으로 보스턴 진단용 실어증 검사 (Boston diagnostic aphasia examination) 의 쿠키 도둑 그림 (cookie theft picture) 이 있다. 동시 실인증 환자에게 그림을 보여 주면 어린이, 쿠키, 접시 등의 단편적인 항목은 인지하지만 전체 그림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못한다.

시각 실조

시각적으로 입력된 정보가 운동계로 연결되지 못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환자는 정상적인 시야 안에서도 마치 보이지 않는 것처럼 손을 뻗어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다[4]. 소뇌 운동 실조와는 달리 시각에 의존하지 않는 운동, 예를 들어 자신의 코를 만져 보라는 지시는 제대로 수행하는데 이는 고유 수용 감각 (proprioception) 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사물의 위치에 대한 공간적 분석을 제대로 하지 못해 병변 반대쪽 팔을 뻗어 표적을 잡지 못하거나 병변 반대쪽 시야에 있는 표적을 잡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검사를 할 때는 양손과 양쪽 시야를 모두 검사해야 한다.

후천성 안구 운동 실행증

시각적 목표물에 대해서 자발적 신속 운동을 시작하고 시선을 따라가는 데 장애가 있다. 하나의 사물에 몰두하여 시선이 고정되므로 과거에는 주시 경련 (spasm of fixation), 또는 정신적 주시 마비 (psychic paralysis of gaze) 라고도 불렀다. 증상이 심한 경우 모든 종류의 신속 운동이 안 되기도 하고,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목표물로 신속 운동을 시작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신속 운동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Ogren MP et al. Alterations in visually related eye movements following left pulvinar damage in man. Neuropsychologia. 1984;22(2):187-96. 연결
  3. Dalrymple KA et al. A world unglued : simultanagnosia as a spatial restriction of attention. Front Hum Neurosci. 2013 Apr 17;7:145. 연결
  4. Perenin MT et al. Optic ataxia : a specific disruption in visuomotor mechanisms. I. Different aspects of the deficit in reaching for objects. Brain. 1988 Jun;111 (Pt 3):643-74.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