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 안내 증식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7일 (화) 00:24 판 (새 문서: 섬유 안내 증식 (fibrous ingrowth) 은 "수술 부위 주위에서 섬유 조직이 증식하고 안내로 침범하는 것이다. == 원인 == 가장 많은 원인은 각막 이...)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섬유 안내 증식 (fibrous ingrowth) 은 "수술 부위 주위에서 섬유 조직이 증식하고 안내로 침범하는 것이다.

원인

가장 많은 원인은 각막 이식이다. 유리체 탈출이나 홍채 감돈이 나타난 복잡한 수술, 저안압, 각막 내피세포 손상이 있는 경우 섬유 증식의 위험이 높고, 주변부 홍채 유착, 수술 후 염증, 전방 출혈, shunt를 사용한 녹내장 수술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병태 생리

섬유모세포는 외상이나 수술 후 창상 치유 과정에 정상적으로 참여하는 상피하 결합 조직, 각막 기질 섬유모세포에서 유래할 수 있으며, 화생된 각막 내피세포, 전방각에서 이주한 세포, 포도막에서 유래한 화생된 단핵세포 등도 섬유모세포의 근원으로 추정된다. 상피 안내 증식과 달리 누공이 섬유 안내 증식의 발생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급격한 악화를 보이지 않는다. 각막 내피 손상에 의한 불량한 창상 치유, 창상 접합이 고르지 못한 경우, 전방내 출혈이 있거나 염증이 심한 경우 섬유소의 생성이 증가하지만, 정확한 미세 조절 환경은 밝혀지지 않았다.

증상

특별한 증상은 없으며, 대부분의 환자는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는다.

검사 및 진단

수술 창상 근처의 각막 후면에 투명한 막이 관찰되고, 후막의 가장자리가 닳아 있고 불규칙하며, 후막에 혈관이 동반되고 각막 기질 부종이 있으면 진단할 수 있다.

감별 진단

섬유 안내 증식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비수술적 치료

상피 안내 증식보다 덜 침습적이다. 종종 염증, 녹내장, 각막 부종에 대한 약물 치료로 충분한 경우가 있고, 상피 증식이 멈추거나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조절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때 스테로이드 치료는 효과가 없으며 방사선 조사도 효과가 미지수이다.

수술적 치료

증식이 지속되면 수술적 제거를 시행하는데, 모든 증식 조직을 제거할 필요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