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디다 안내염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7일 (화) 00:35 판 (새 문서: 칸디다 안내염 (Candida endophthalmitis) == 역학 == Candida 전신 감염증의 3~44%에서 발병한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낮은 균력을 가지지만, 칸디다혈...)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칸디다 안내염 (Candida endophthalmitis)

역학

Candida 전신 감염증의 3~44%에서 발병한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낮은 균력을 가지지만, 칸디다혈증의 경우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나타낸다. 최근 혈액 배양 검사에서 Candida가 배양이 되면 전신 항진균제를 적극적으로 처방하여 유병률은 조금 감소하는 듯하다.

원인

C. albicans 가 가장 흔하고, 이외에도 C. tropicalis, C. parapilosis, C. glabrata, C. guilliermondii, C. krusei 등도 안내염을 일으킨다.

임상 소견

특징적인 소견은 하나 이상의 경계가 명확한 우유빛 맥락망막 병변이 후극부에 존재하는데 크기는 1mm 이하인 경우가 많고, 연접한 유리체에도 염증이 동반되어 혼탁이 관찰된다. 간혹 노란 깃털 모양의 유리체 혼탁이 염증 덩어리와 연결되거나 망막하 농양이 관찰되기도 한다.

검사 및 진단

전신적 Candida 감염이 있고, 안구 내에 염증 소견이 일치한다면 안구내 조직 배양검사 없이도 임상적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그러나 Candida 감염이 확진되지 않았다면, 안구내 조직 즉 방수, 유리체로 배양 검사를 하여 확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감별 진단

초기에 다른 질환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높은데, 한 보고에 의하면 50%나 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