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티뉴린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8월 9일 (수) 02:52 판 (→‎역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옵티뉴린 (Optineurin, OPTN)[1]

역사

2002년에 Rezaie 등[2]은 옵티뉴린이라는 새로운 유전자가 가족력이 있는 정상 안압 녹내장이나 안압이 그리 높지 않은 원발 개방 녹내장 환자의 16.7%에서 연관이 있다는 보고를 하였다. 이 유전자는 염색체 10p14-p15 의 GLC1E locus 에 위치하고 있으며 16개의 exon을 가지고 있다. 이 유전자에 의해 발현되는 단백질 은 Huntingtin 단백질, transcription factor IIIA, RAB8, adenovirus E3-14.7K 등과 상호 작용을 한다.

유전자의 구성은 5'-UTR 위치에 3개의 noncoding exon 이 있고 5777H 의 아미노산을 cod띠g하는 13 개의 exon으로 구성되어 있다. 옵티뉴린은 섬유주, 비색소 섬모체 상피, 망막, 뇌, 부신 피질, 간, 태아, 림프 세포, 섬유 모세포 등에서 발현이 되는 것이 확인 되었고 사람뿐만 아니라 원숭이, 소, 돼지, 염소, 양, 토끼 등의 방수에서도 발견되어 이 단백질이 분비성 단백질 이라는 것도 밝혀졌다. 세포내에서는 Golgi apparatus와 동일 위치에 존재하는 것도 확인이 되어 분비 단백질이라는 것이 다시 한 번 간접적으로 확인되었다.

기전

OPTN이 apoptosis를 유발하는 TNF-α signaling pathway의 일부분을 차지할 것이라 생각되며, TNF-α가 정상안압 녹내장과 원발 개방각 녹내장 환자에서 시신경에 심한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감안하면 OPTN이 TNF-α의 작용에 변화를 주어 시신경의 신경세포 보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추측된다[3][4]. 즉 OPTN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시신경에 영향을 주어 녹내장을 유발할 것이라 생각된다.

참고

  1.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
  2. Rezaie T et al. Adult-onset POAG caused by mutations in OPTN. Science. 2002 Feb 8;295(5557):1077-9. 연결
  3. Morton S et al. Enhanced binding of TBK1 by an OPTN mutant that causes a familial form of POAG. FEBS Lett. 2008 Mar 19;582(6):997-1002. 연결
  4. Chalasani ML et al. OPTN and its mutants : molecules a/w some forms of glaucoma. Ophthalmic Res. 2009;42(4):176-84. 연결